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팔교[八敎]~팔극[八極]~팔기[八旗]~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39  

팔교[八敎] 기자(箕子)가 지었다고 하는 고조선의 법률인 범금팔조(犯禁八條)를 말한다. 고조선에는 일찍부터 8개의 금법(禁法)이 있어 각종 범죄를 처벌하였는데, 그 가운데 현재 사람을 죽인 자는 죽인다[相殺償以命], 사람을 상하게 한 자는 곡물로 보상한다[相傷以穀償],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는다[相盜者沒爲其家奴婢]’3개 조항만이 전하고 나머지는 전하지 않는다.

팔교[八敎] 팔교는 천태종(天台宗)의 화의(化儀) 4교와 화법(化法) 4교를 합하여 말한 것이다.

팔구[八區] 팔방(八方)의 밖으로 천하를 가리킨다.

팔구탄흉중[八九呑胸中] 가슴에 운몽(雲夢) 팔구(八九)쯤은 삼킨다는 말이 있으며, 그것은 기개가 장하고 가슴이 넓다는 말이다.

팔극[八極] 팔방(八方)의 끝으로 우주(宇宙)를 말한다.

팔기[八旗] () 나라 태조(太祖) , 정해진 병제(兵制)인 팔기병(八旗兵)을 가리킨다. 청 나라의 병제에 우익(右翼)에는 정황(正黃)정백(正白)정홍(正紅)정람(正藍) 색깔의 기를, 좌익(左翼)에는 양황(鑲黃)양백(鑲白)양홍(鑲紅)양람(鑲藍) 색깔의 기를 단다. <淸會典 八旗都統>

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 나라 말 유방(劉邦)과 항우(項羽)가 천하를 놓고 서로 다툴 때 역이기(酈食其)가 유방에게 육국(六國)의 후대를 세워 함께 항우를 공격할 것을 건의하였다. 유방은 때마침 밥을 먹는 중이었는데 장량(張良)이 들어와 그 이야기를 듣고 유방이 들고 있는 젓가락을 달라고 하여 땅바닥에 그려가며 여덟 가지의 곤란한 이유를 설명하자, 유방은 먹던 밥을 토하고 역이기를 크게 꾸짖었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조정에서 국가를 위한 절묘한 계책을 세우는 것을 뜻한다. <漢書 卷四十 張良傳>

 

 



번호 제     목 조회
5129 한유[韓柳]~한유[韓愈]~한음[漢陰]~한음기심[漢陰機心] 1650
5128 침자[針磁] ~ 침주[沈舟] ~ 침중홍보[枕中鴻寶] ~ 침탁[踸踔] 1665
5127 가동[賈董]~가동가서[可東可西]~가동시졸[街童市卒]~가동주졸[街童走卒] 1671
5126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1672
5125 칠종칠금[七縱七擒]~칠지군서[七紙軍書]~칠징[七徵] 1673
5124 한마지로[汗馬之勞]~한만유[汗漫遊]~한매[寒梅]~한맹[寒盟] 1678
5123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1678
5122 가분불가분[可分不可分]~가분지락[歌汾之樂]~가불가연불연[可不可然不然] 1678
5121 칠의[七依] ~ 칠일지복[七日之復] ~ 칠자[七子] ~ 칠자[七子] 1684
5120 함포[含哺]~함포고복[含哺鼓腹]~함함[顑頷]~함함[唅唅] 1685
5119 치황[緇黃] ~ 치효괴아실[鴟鴞壞我室] ~ 치힐교당선[癡黠較螳蟬] 1691
5118 파려[玻瓈]~파륭병[罷癃病]~파릉한사[灞陵寒士]~파리영액[玻瓈靈液] 169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