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포옹장인[抱甕丈人]~포옹한음[抱甕漢陰]~포용도[包龍圖]~포육천교[飽肉天驕]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73  

포옹장인[抱甕丈人] 장자(莊子) 천지(天地)자공(子貢)이 길을 가다 보니 어떤 사람이 논에 물을 대는데, 단지를 안고 우물로 들어가 길어다가 대니 힘만 들고 효과가 없었다. 자공이 힘 안 들고 효과 많은 기계가 있는데 왜 안 쓰는가?’ 하니, 대답하기를 기계를 쓰면 요령 부리고 싶은 마음이 생기고 요령을 부리면 순수한 마음을 보전하여 도를 완전하게 할 수 없다. 기계가 있는 것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수치스럽게 여겨 쓰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다.”고 하였다.

포옹한음[抱甕漢陰] 자공(子貢)이 초() 나라에서 진() 나라로 돌아갈 때 한음(漢陰)을 지나다가 보니, 한 노인[丈人]이 독을 들고 물을 운반하여 언덕에 오르내리며 밭에 물을 주고 있었다. 자공이 그에게 말하기를 두릿대[桔橰]를 만들어 물을 푸면 수월하고 일이 쉬울 터인데, 왜 이다지 독을 안고 수고하십니까.” 하니, 노인이 말하기를 기계(機械)를 쓰는 자가 기사(機事)가 있고, 기사가 있으면 기심(機心)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기계를 쓰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포용도[包龍圖] 포용도는 곧 송() 나라 때 용도각 대제(龍圖閣待制)를 지낸 포증(包拯)을 가리키는데, 성품이 워낙 강직하여 그가 조정에서 벼슬하는 동안에는 귀척(貴戚)이나 환관(宦官)들도 감히 발호하지 못하고 그를 무서워하였으며 그가 하도 근엄(謹嚴)하여 웃는 일이 없으므로, 심지어는 사람들이 일컫기를 그가 웃으면 황하수(黃河水)가 맑아질 것이다.”고까지 하였다. 당시 포대제(包待制) 또는 염라포로(閻羅包老) 등으로 불렸다.

포유경혜천상[抱遺經兮穿床] () 나라 관녕(管寧)의 자()가 유안(幼安)인데, 조조(曹操) 때에 난을 피하여 요동(遼東)에 가서 살면서, 수십 년 동안 한 목탑(木榻)에 앉아 있었으므로, 그의 무릎이 닿은 곳은 목탑(木榻)이 뚫어졌다 한다.

포육천교[飽肉天驕] 평생 고기만 실컷 먹어 비린내 나는 교만한 북방 오랑캐라는 뜻이다. 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胡者 天之驕子也라는 말이 있으며, 두보(杜甫)의 시에 화문 땅 건방진 놈들, 고기 먹고 호기 부리네.[花門天驕子 飽肉氣勇決]”이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7 留花門>

 

 



번호 제     목 조회
257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1782
256 포옥삼련월[抱玉三連刖]~포옹[逋翁]~포옹구망구[抱瓮久忘劬] 1781
255 가복[加卜]~가복[加服]~가봉[歌鳳]~가봉녀[加捧女]~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1780
254 칠시[七始] ~ 칠실우[漆室憂] ~ 칠십진구추[七十眞九雛] ~ 칠십칠자[七十七字] 1779
253 투편단류[投鞭斷流]~투필[投筆]~투필봉후[投筆封侯] 1771
252 상여굴진[相如屈秦] ~ 상여권유[相如倦遊] ~ 상여벽립[相如壁立] 1770
251 칠사관잠[七事官箴] ~ 칠상[七相] ~ 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1766
250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1766
249 파연루[破煙樓]~파옹[坡翁]~파유[巴歈]~파일휘[把一麾] 1757
248 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가부신재[可不愼哉]~가부좌[跏趺坐]~가부지친[葭莩之親] 1756
247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1750
246 타타[朶朶] ~ 타향승고향[他鄕勝故鄕] ~ 탁경뢰[籜驚雷] ~ 탁녀금[卓女琴] 1747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