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포장박뢰풍[鋪張薄雷風]~포정전우[庖丁全牛]~포조[鮑照]~포좌[蒲坐]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22  

포장박뢰풍[鋪張薄雷風] 바람과 우레 같은 문장으로써 임금의 공덕을 포장(鋪張)한다는 뜻이다.

포정안저흠전우[庖丁眼底欠全牛] 식견이나 기예가 높은 경지에 이름을 비유한 말. 소를 잡는 포정이 처음 소를 잡을 적에는 눈에 보이는 것이 다 소뿐이었는데, 3년이 지난 뒤에는 소의 완전한 형태가 눈에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養生主>

포정전우[庖丁全牛] 소를 가르는 신기(神技)를 가진 포정(庖丁)이 위() 나라 문혜군(文惠君) 앞에서 그의 기술 연마(鍊磨)의 과정을 술회한 말이다. “처음 신이 소를 기를 때엔 보는 바가 소 아닌 것이 없었지요. 그러다가 3년 뒤에는 일찍이 온전한 소를 본 적이 없나이다.”라고 하였다. 보는 대상(對象)이 모조리 짝짝 갈려[分析] 보였다는 말이다.

포정해우[丁解牛] 포정이 소를 잡는다는 말로, 기술이 매우 뛰어나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포조[餔糟] 굴자(屈子)는 굴원(屈原)을 가리킨다. 그의 어부사(漁父辭)를 보면 사람들이 모두 취했다면, 어찌하여 술지게미라도 먹지 않는 것인가.”라고 의문을 제기한 뒤, 세속의 티끌을 뒤집어 쓸 수는 없다는 신념을 피력하고 있다.

포조[鮑照] ()는 명원(明遠)이다. 언어 구사력이 풍부하고 문장력이 탁월한 그는 일찍이 고악부(古樂府)를 지어 명성을 드날린 바 있고, 하청송(河淸頌)이란 글도 지었는데, 특히 그 서문(序文)이 매우 돋보인다 하여 세조(世祖)가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제수하였다. <宋書 卷五十一 劉義慶列傳>

포조계[匏爪繫] 공자(孔子)의 말에 내가 어찌 박[]이나 오이[]처럼 덩굴에 매어서 다니지 아니하랴.” 하였다.

포좌[蒲坐] 부들로 짜서 만든 둥근 방석으로, 주로 중이 좌선하거나 무릎을 꿇고 절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165 해제천규[海帝穿竅]~해조[海棗]~해조[解絛]~해조문[解嘲文]~해조음[海潮音] 1547
5164 홍릉담[紅綾餤]~홍릉병[紅綾餠]~홍린약빙[紅鱗躍氷]~홍모척[鴻毛擲]~홍몽[鴻濛] 1548
5163 형석[衡石]~형설지공[螢雪之功]~형수[荊樹]~형수화[荊樹花]~형승지지[形勝之地] 1549
5162 파군오자[巴郡吳資]~파금은섬[破琴隱剡]~파랑회종각[破浪懷宗慤] 1550
5161 호계별[虎溪別]~호계삼소[虎溪三笑]~호계평류[瓠繫萍流]~호관친림[虎觀親臨] 1550
5160 한아[寒鴉]~한안[汗顔]~한안국[韓安國]~한양애왕[韓襄哀王] 1559
5159 판향[瓣香]~판향배[瓣香拜]~팔개[八凱]~팔결문[八結文] 1561
5158 포식난의[飽食暖衣]~포신구화[抱薪救火]~포양[蒲楊] 1561
5157 황정[黃精]~황정[黃鼎]~황정[黃庭]~황정경[黃庭經]~황정환백아[黃庭換白鵝] 1567
5156 한중[漢中]~한진[韓鎭]~한청[汗靑]~한침진경[漢寢震驚] 1570
5155 한항금속[寒缸金粟]~한해[瀚海]~한해소조[韓海蘇潮]~한헌제[漢獻帝] 1571
5154 파도무[播鼗武]~파동한회[怕動寒灰]~파라척결[爬羅剔抉]~파란중첩[波瀾重疊] 1575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