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한산[寒山]~한산편석[韓山片石]~한상[韓湘]~한생탈득동귀지[韓生奪得東歸志]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11  

한산[寒山] 당나라 시인 장계(張繼)가 한산사(寒山寺)를 지나다가 지은 시가 유명하다.

한산백[韓山伯]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가리킨다.

한산자[寒山子] () 나라 때 천태산(天台山)에 있던 고승(高僧).

한산팔경[韓山八景] 한산의 여러 가지 경치.

한산편석[韓山片石] 뛰어난 문사(文士)가 떠나게 됨을 비유한 말. 한산은 곧 한릉산(韓陵山)을 이름. () 나라 때 유신(庾信)이 남조(南朝)로부터 맨 처음 북방(北方)에 갔을 적에 당시 북방의 문사인 온자승(溫子昇)이 한릉산사비(韓陵山寺碑)를 지었으므로, 유신이 이 글을 읽고 베끼었는데, 남방의 문사가 유신에게 묻기를 북방의 문사들이 어떠하던가?” 하니, 유신이 대답하기를 오직 한릉산에 한 조각 돌이 있어 함께 말을 할 만하더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朝野僉載 卷六>

한상[韓湘] () 나라 때의 대문장가 한퇴지(韓退之)의 조카.

한상[韓湘] 한상은 당() 한유(韓愈)의 종손(從孫)으로서 도술(道術)에 심취하여 선인(仙人)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옴. 속선전(續仙傳)한상이 도술을 좋아하며 세상 일에 얽매이지 않았는데, 언젠가 흙을 모으고 화분을 뒤짚자 바로 꽃이 피면서 꽃잎 위에 구름은 진 나라 고개를 가로질러 가는데 집은 어디에 있는가. 남관에 눈보라치니 말이 가려 하지 않네.[雲橫秦嶺家何在 雪擁藍關馬不前]’이라는 시구가 나타나게 하였다. 한유가 이 뜻을 이해하지 못하다가 뒤에 조주(潮州)로 좌천되어 가면서 중도에 눈보라를 만났는데, 이때 한상이 눈을 무릅쓰고 찾아 왔기에 그곳의 지명을 물어보니 바로 남관이었다.”라고 하였다.

한생탈득동귀지[韓生奪得東歸志] 항우(項羽)가 함양(咸陽)을 불태우고 동으로 돌아가려 하니 한생(韓生)관중(關中)은 사방이 막힌 지역으로 토지가 비옥하여 도읍할 만한 곳입니다.”라고 하였으나 항우가 듣지 않았다. <史記 卷七 項羽本紀>

 

 



번호 제     목 조회
257 탄자와[彈자渦] ~ 탄쟁협[彈箏峽] ~ 탄지[彈指] ~ 탄탄[呑炭] 1811
256 파목[頗牧]~파부침선[破釜沈船]~파붕수비육[破朋愁鄙育] 1806
255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1805
254 투편단류[投鞭斷流]~투필[投筆]~투필봉후[投筆封侯] 1800
253 가복[加卜]~가복[加服]~가봉[歌鳳]~가봉녀[加捧女]~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1798
252 칠시[七始] ~ 칠실우[漆室憂] ~ 칠십진구추[七十眞九雛] ~ 칠십칠자[七十七字] 1797
251 포옥삼련월[抱玉三連刖]~포옹[逋翁]~포옹구망구[抱瓮久忘劬] 1794
25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1787
249 상여굴진[相如屈秦] ~ 상여권유[相如倦遊] ~ 상여벽립[相如壁立] 1784
248 칠사관잠[七事官箴] ~ 칠상[七相] ~ 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1783
247 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가부신재[可不愼哉]~가부좌[跏趺坐]~가부지친[葭莩之親] 1776
246 파연루[破煙樓]~파옹[坡翁]~파유[巴歈]~파일휘[把一麾] 1773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