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한언환[韓嫣丸]~한예용라[漢隷龍拏]~한와당[漢瓦當]~한우충동[汗牛充棟]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75  


한언환[韓嫣丸] 금으로 만든 탄환을 가리킨다. () 나라 무제(武帝)의 총신(寵臣)인 한언이 무제로부터 여러 차례 하사품을 받아 몹시 부유하였다. 항상 금으로 탄환을 만들어 새를 잡으러 다녔는데 새를 잡으러 갈 적마다 탄환을 10여 개씩 잃어버렸으므로 장안의 아이들이 그 탄환을 줍기 위해 한언의 뒤를 따라다녔다고 한다. <西京雜記 卷4>

한여[翰如] 이시우(李是釪)의 자이다.

한영[閒詠] 한가롭게 읊조림.

한예용라[漢隷龍拏] 한예는 한 나라 때에 성행했던 예서체(隷書體)를 말하고, 용이 끈다는 것은 곧 자획(字劃)의 모양을 형용한 말이다.

한옥[寒玉] 한옥은 대나무를 뜻하는 시어(詩語)이다.

한옹[韓翁] 한옹은 송() 나라 때 한국공(韓國公)에 봉해진 부필(富弼)을 말한다.

한와[漢瓦] 한와는 한 나라 시대 궁전(宮殿)에 사용했던 기왓장에 새긴 문자(文字)를 가리킨 말이다.

한와당[漢瓦當] ’瓦當인데 토기(土器)의 와()이다. () 나라 시대의 것을 말한다.

한우[寒竽] 한우는 오래도록 불지 않고 버려 둔 피리를 이르는데, 소식(蘇軾)의 화자유시(和子由詩)나는 이제 학문을 폐한 게 한우와 같아서 오래도록 불지 않아 막히어 소리가 안 나려 하네.[我今廢學如寒竽 久不吹之澁欲無]”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蘇東坡集 卷四>

한우충동[汗牛充棟] 소에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릴 정도요, 곳간에 넣으면 지붕에 찰 정도로 많다는 뜻으로 책이 굉장히 많음을 이른다.

한우충동[汗牛充棟] 수레에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릴 정도이고 방 안에 쌓으면 들보에 닿을 정도란 뜻으로, 장서(藏書)가 매우 많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129 한유[韓柳]~한유[韓愈]~한음[漢陰]~한음기심[漢陰機心] 1650
5128 침자[針磁] ~ 침주[沈舟] ~ 침중홍보[枕中鴻寶] ~ 침탁[踸踔] 1665
5127 가동[賈董]~가동가서[可東可西]~가동시졸[街童市卒]~가동주졸[街童走卒] 1671
5126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1672
5125 칠종칠금[七縱七擒]~칠지군서[七紙軍書]~칠징[七徵] 1673
5124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1677
5123 가분불가분[可分不可分]~가분지락[歌汾之樂]~가불가연불연[可不可然不然] 1677
5122 한마지로[汗馬之勞]~한만유[汗漫遊]~한매[寒梅]~한맹[寒盟] 1678
5121 칠의[七依] ~ 칠일지복[七日之復] ~ 칠자[七子] ~ 칠자[七子] 1682
5120 함포[含哺]~함포고복[含哺鼓腹]~함함[顑頷]~함함[唅唅] 1685
5119 치황[緇黃] ~ 치효괴아실[鴟鴞壞我室] ~ 치힐교당선[癡黠較螳蟬] 1688
5118 파려[玻瓈]~파륭병[罷癃病]~파릉한사[灞陵寒士]~파리영액[玻瓈靈液] 169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