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한음병[漢陰甁]~한의[漢儀]~한이[韓圯]~한일참광정[寒日慘光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03  

 

한음무기심[漢陰無機心] 한음은 중국의 지명. 이 땅에 살던 한 노인이, 온 세상 사람들의 간사한 지혜와 교묘한 기계가 날마다 그 본심과 순박한 풍기를 해친다 하며, 기계(機械)를 만들어 쓰라는 권고를 물리치고 일부러 단지로 우물물을 퍼서 채소에 주었다. 기심(機心)은 간교한 마음을 이른다. <莊子 天地>

한음병[漢陰甁]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이 한음을 지나다가 한 노인을 만났는데, 그 노인이 물동이를 안고 우물로 들어가 물을 퍼 가지고 나와서 채소밭에 물을 주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天地>

한의[漢儀] 신국(新國) 왕망(王莽)이 한()나라를 빼앗았다가, 뒤에 광복(光復)하려는 군사들이 일어나 유수(劉秀)가 보낸 관리들이 한관(漢官)의 의식(儀式)을 다시 회복하니, 백성들이 감탄하여 오늘에 한관(漢官)의 위의(威儀)를 다시 볼 줄을 몰랐다.”라고 하였다.

한의[寒衣] 추울 때 입는 옷이다.

한이[韓圯] 전국 때 한나라 대부로 한나라 마지막 왕 한왕 안(: 재위 기원전 238-230) 때 재상을 지냈다. 그가 했던 모든 일은 한나라의 멸망을 재촉시켰다. 그러나 구체적인 활동은 자세하게 전해지지 않는다.

한이부[韓吏部] 한 이부는 곧 이부 시랑(吏部侍郞)을 지낸 한유(韓愈)를 이른다. 그의 석고가에 對此涕淚雙滂沱라 하였다.

한일참광정[寒日慘光晶] 이백(李白)의 시에 길게 호읍(號泣)하며 엄친과 이별하노라니, 일월도 참담하여 빛을 잃은 듯.[長號別嚴親 日月慘光晶]”이라는 구절이 있다. <李太白集 卷1 古風>

 

 



번호 제     목 조회
149 해상도[海上桃]~해상유의[海上留衣]~해서[楷書]~해성[諧聲] 1476
148 포옹장인[抱甕丈人]~포옹한음[抱甕漢陰]~포용도[包龍圖]~포육천교[飽肉天驕] 1475
147 협탄[鋏彈]~협파개[愜爬疥]~협협[歙歙]~협협균박새[挾筴均博塞]~형[荊] 1473
146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1473
145 항왕목중동[項王目重瞳]~항요[恒曜]~항장검무[項莊劒舞]~항주소일[杭州消日] 1471
144 형여[荊廬]~형역[形役]~형옥[荊玉]~형인[衡人]~형인양월[荊人兩刖] 1469
143 혜련[惠連]~혜문[惠文]~혜문관[惠文冠]~혜산수[惠山水]~혜산천[惠山泉] 1468
142 해우[薤盂]~해우[解雨]~해우오혜[解牛悟惠]~해우음나조[廨宇蔭蘿蔦] 1464
141 가롱성진[假弄成眞]~가루[家累]~가루견보[架漏牽補]~가류[苛留]~가륭[嘉隆] 1454
140 형창설안[螢窓雪案]~형처[荊妻]~형해득실[形骸得失]~형형[泂泂] 1452
139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1451
138 가불매조[呵佛罵祖]~가불원[柯不遠]~가비[家備]~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1445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