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한항금속[寒缸金粟]~한해[瀚海]~한해소조[韓海蘇潮]~한헌제[漢獻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92  

한한[汗汗] 물의 광대한 모양.

한한[暵暵] 햇빛이 물건을 말리는 모양, 더운 모양.

한항금속[寒缸金粟] 등잔의 기름이 다 떨어져서 심지 끝이 타들어 가며 맺히는 불똥을 말한다. 한항은 기름이 없는 등잔으로, 한등(寒燈)이라고도 한다. 참고로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등잔 기름이 다하면서 불꽃도 짤막, 새벽 물시계 소리 역시 길게 드문드문.[焰短寒缸盡 聲長曉漏遲]”이라는 표현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15 不睡>

한해[瀚海] 몽고의 고원(高原) 동북쪽에 있는 북해(北海)를 뜻하기도 하고 사막의 별칭이기도 하다.

한해[瀚海] 북쪽에 있다고 하는 큰 바다를 말한다. 이설(異說)이 분분한데, 지금의 호륜호(呼倫湖)를 지칭하는 것인 듯하다.

한해[翰海] 한해는 몽고의 항원산(杭爰山)에 대한 음역(音譯)이다.

한해소조[韓海蘇潮] 퇴지(退之) 바다 동파(東坡) 조수. 이기경(李耆卿)의 문장정의(文章精義)에 이르기를 韓如海 柳如泉 歐如瀾 蘇如潮라 하였다.

한헌제[漢獻帝] 헌제는 후한(後漢)의 마지막 황제로 조조에게 계속 핍박을 당하다가 그 아들 조비(曺丕)에게 제위(帝位)를 넘겨주고 말았다. <後漢書 卷九>

 

 



번호 제     목 조회
185 합고[合考]~합관요[篕寬饒]~합구초[合口椒]~합근[合巹]~합덕[合德] 1322
184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1320
183 팔대쇠[八代衰]~팔대수[八大藪]~팔두문장[八斗文章]~팔룡운전[八龍雲篆] 1312
182 황정[黃精]~황정[黃鼎]~황정[黃庭]~황정경[黃庭經]~황정환백아[黃庭換白鵝] 1312
181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1311
180 해상도[海上桃]~해상유의[海上留衣]~해서[楷書]~해성[諧聲] 1308
179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1304
178 항백[巷伯]~항백[項伯]~항보[亢父]~항북유[巷北遊] 1301
177 해우[薤盂]~해우[解雨]~해우오혜[解牛悟惠]~해우음나조[廨宇蔭蘿蔦] 1300
176 가사마[家司馬]~가사유지[可使由之]~가사임장[家事任長]~가사협[賈思勰]~가삭[家削] 1298
175 포옹장인[抱甕丈人]~포옹한음[抱甕漢陰]~포용도[包龍圖]~포육천교[飽肉天驕] 1297
174 한선[寒蟬]~한선자[韓宣子]~한선혜왕[韓宣惠王]~한섬노토[寒蟾露兎] 1296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