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함도천묘[含桃薦廟]~함련[頷聯]~함로[銜蘆]~함망[銜芒]~함매[銜枚]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31  

함도천묘[含桃薦廟] 예기(禮記) 월령(月令)에 의하면, 중하(仲夏)의 달에는 앵도(櫻桃)를 사당에 천신(薦新)한다고 한다.

함도하시지[銜圖何時至] 인군(仁君)의 출현을 고대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봉황은 원래 태평성대에나 나타나는 상서로운 새인데, 옛날 황제(皇帝)가 낙수(雒水) 위에서 노닐 때 봉황이 도서를 입에 물고 내려오자 황제가 절을 하고 받았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春秋合誠圖>

함랑[咸郞] 함씨(咸氏) 낭자(郞子).

함련[頷聯] 율시(律詩)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 구를 말한다.

함로[銜蘆] 입에 긴 갈대를 문 기러기를 말한다. 기러기는 그물이나 주살을 피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그런 행동을 취한다고 한다. 시자(尸子) 권하(卷下)기러기는 갈대를 물어 그물을 미리 피하고, 소는 진을 쳐서 호랑이를 물리친다.[雁銜蘆而捍網 牛結陣以却虎]”하였다.

함로이자방[銜蘆以自防] 철저하게 자기 방어를 한다는 뜻으로 유향(劉向) 안부(雁賦)순풍을 타고 날아 기력(氣力)을 돕고, 갈대를 물고 주살을 피한다.” 하였으며, 문선(文選) 좌사(左思) 촉도부(蜀都賦)의 주()기러기가 갈대를 물고서 주살을 방어하여 자신의 날개를 상하지 않게 한다.” 하였다.

함망[銜芒] 음력 8월 중에 게의 뱃속에 벼의 까끄라기와 같은 것이 생기는데, 동쪽으로 가서 이를 해신(海神)에게 바친다고 하며, 이를 바치기 이전에는 먹을 수 없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淵鑑類函 卷444 >

함망해[銜芒蟹] 음력 8월 중에 게의 뱃속에 벼의 까끄라기와 같은 것이 생기는데, 동쪽으로 가서 이를 해신(海神)에게 바친다고 하며, 이를 바치기 이전에는 먹을 수 없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淵鑑類函 卷444 >

함매[銜枚] 급하게 행군(行軍)하여 남의 나라를 습격할 때에 소리 나지 않게 말[]과 군사의 입에 재갈을 물리는 것이다.

함매씨[銜枚氏] 함매씨는 주() 나라 때 떠드는 것을 금지시키는 일을 관장했던 관직명이다. <周禮 秋官>

 

 



번호 제     목 조회
221 칠종칠금[七縱七擒]~칠지군서[七紙軍書]~칠징[七徵] 1702
220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1701
219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1698
218 한마지로[汗馬之勞]~한만유[汗漫遊]~한매[寒梅]~한맹[寒盟] 1697
217 침자[針磁] ~ 침주[沈舟] ~ 침중홍보[枕中鴻寶] ~ 침탁[踸踔] 1692
216 포초[鮑焦]~포초래[蒲梢來]~포취만거[鮑臭滿車]~포편[蒲鞭] 1688
215 한유[韓柳]~한유[韓愈]~한음[漢陰]~한음기심[漢陰機心] 1680
214 혜강[嵇康]~혜강라작서[嵇康懶作書]~혜강양생[嵆康養生]~혜계[醯鷄]~혜계천[醯鷄天] 1677
213 탁정[卓程] ~ 탁족[度足] ~ 탁중장[槖中裝] ~ 탁창랑[濯滄浪] 1668
212 화표주[華表柱]~화표천년학[華表千年鶴]~화표학[華表鶴]~화풍난양[和風暖陽] 1666
211 파파[派派]~파행[跛行]~파협원명[巴峽猿鳴]~파호위준[破瓠爲樽] 1664
210 파자국[巴子國]~파적[破的]~파주위선[把酒爲船]~파죽지세[破竹之勢] 1651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