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해분[解紛]~해사[薤詞]~해산도솔[海山兜率]~해삼고[海三枯]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13  

해부[海賦] 목현허(木玄虛)의 해부(海賦)가 있다.

해분[解紛] 해분은 분쟁을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해사[薤詞] 사람이 죽었을 때 부르는 만가(輓歌)를 말한다. 고금주(古今注) 중권(中卷)해로(薤露)는 사람이 죽었을 때 부르는 소리이다. 전횡(田橫)이 자살하자 문인들이 슬퍼하여 지은 비가(悲歌), 사람의 목숨이 풀잎의 이슬방울같이 쉽게 사라지는 것을 노래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해사수정격년회[海槎雖定隔年回] 바닷가에 해마다 팔월(八月)이면 어디서인지 떼배[]가 왔다가 간다 한다.

해산도솔[海山兜率] 어느 사람의 꿈에 바다 속의 산에 갔더니 정결한 집이 하나 있어 낙천원(樂天院)이라는 말을 듣고 백락천이 시를 짓기를 바다 속의 산은 나의 돌아갈 곳이 아니요, 돌아간다면 응당 도솔천(兜率天)으로 돌아가리라.”라고 하였다. 그것은 백락천이 불교를 독실히 믿으므로 불경에 말한 대로 미륵보살(彌勒菩薩)이 있는 도솔천으로 돌아가겠다고 한 것이다.

해산증대낙천래[海山曾待樂天來] 당 나라 때에 어느 사람이 꿈에 바다 가운데 산에 들어갔더니, 신선이 사는 곳에 낙천원(樂天院)이란 집을 비어 두고 장차 중국의 백락천(白樂天)이 죽어서 이 집에 올 것이다.”라고 하였다. 백락천이 그 말을 듣고 시를 짓기를 나는 불법을 배우고 신선을 배우지 아니하니 아마도 그대의 이 말은 헛 전할 것일세. 해산이 나의 돌아갈 곳이 아니라 간다면 도솔천으로 갈 것일세.[吾學空門不學仙 悲君此語是虛傳 海山不足吾歸處 歸則應歸兜率天]”라고 하였다.

해삼고[海三枯] 많은 세월이 흐르는 것을 뜻한다. () 나라 때의 신선(神仙) 왕원(王遠)이 마고(麻姑)를 초청하니, 마고가 봉래산(蓬萊山)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찾아보겠다고 하였다. 그 뒤에 마고가 와서는 스스로 말하기를 그대를 만난 이래로 이미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 지난번에 봉래산에 가 보니 지난번에 만났을 적보다 물이 반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니 어찌 다시 육지가 되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神仙傳 麻姑>

 

 



번호 제     목 조회
269 칠저삼[漆沮槮]~칠전팔도[七顚八倒]~칠절당[七絶堂] 1817
268 탐호취자[探虎取子] ~ 탐화사자[探花使者] ~ 탐화연[探花宴] 1817
267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1817
266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1817
265 치절[痴絶] ~ 치조비조[雉朝飛操] ~ 치창시[熾昌詩] ~ 치천[稚川] 1814
264 해분[解紛]~해사[薤詞]~해산도솔[海山兜率]~해삼고[海三枯] 1814
263 호저[縞紵]~호전[胡銓]~호접공[蝴蝶空]~호접몽[胡蝶夢] 1812
262 탁타교[橐駝橋] ~ 탄검[彈劍] ~ 탄관[彈冠] ~ 탄관우왕[彈冠遇王] 1810
261 가사마[家司馬]~가사유지[可使由之]~가사임장[家事任長]~가사협[賈思勰]~가삭[家削] 1807
260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붕곤곤제명시[親朋袞袞際明時] 1806
259 택리인위미[擇里仁爲美]~택문구[澤門謳]~택반음[澤畔吟]~택복견[澤腹堅] 1805
258 탄자와[彈자渦] ~ 탄쟁협[彈箏峽] ~ 탄지[彈指] ~ 탄탄[呑炭] 1803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