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호각[弧角]~호각지세[互角之勢]~호경[呼庚]~호계[壺界]~호계[虎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14  

호각[弧角] 구면상(球面上)의 양대원(兩大圓)이 서로 교착하여 이루어진 각()을 이른다.

호각지세[互角之勢] 호각(互角)은 쇠뿔의 양쪽이 서로 길이나 크기가 같다는 데서 나온 말, 서로 겨루는 형세. 서로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아주 팽팽하고 대등한 상황을 뜻한다.

호경[呼庚] 군량미가 떨어진 것을 말한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애공(哀公) 13년 조()()의 신숙의(申叔儀)가 공손유산씨(公孫有山氏)에게 군량미를 요청하자, 대답하기를, ‘만약 수산(首山)에 올라가서 경계호(庚癸乎)라고 외치면 보내주겠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두예(杜預)의 주()()은 서방으로 곡식을 주관하고, ()는 북방으로 물을 주관한다.”라고 하였다.

호경[鎬京] 지명으로 지금의 섬서(陝西) 장안현(長安縣) 서쪽에 있다. 주 무왕(周武王)이 여기에서 (천하를) 경영하기 시작하였다.

호계[壺界] 신선 세계를 말한다. 동한(東漢) 때 비장방(費長房)이 어떤 노인을 따라 술병 안으로 들어갔는데, 그 안에 신선 세계가 펼쳐져 있었다고 한다. <後漢書 卷82下 方術列傳 費長房>

호계[虎溪] 중국 강서성(江西省) 구강시(九江市) 서남쪽에 있는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 앞의 시내 이름이다. () 나라 때 혜원법사(慧遠法師)가 이곳에 살면서 손님을 전송할 때 이 시내를 건넌 적이 없었는데 하루는 도잠(陶潛)과 육수정(陸修靜)을 전송하면서 진진한 얘기를 나누다가 그만 호계를 건너자 호랑이가 울었으므로 한바탕 크게 웃고 헤어졌다. 본시 호계를 건너면 호랑이가 울곤 하였다 한다. <蓮社高賢傳>

 

 



번호 제     목 조회
245 통천[通天]~통천대[通天臺]~통천서[通天犀]~통탈[桶脫]~통후[通侯] 1740
244 탁사[托社] ~ 탁세편편[濁世翩翩] ~ 탁심장[濯心腸] ~ 탁약한회[橐籥寒灰] 1737
243 치인설몽[痴人說夢] ~ 치자환주[癡子還珠] ~ 치장[植杖] 1735
242 퇴고[推敲]~퇴문총[堆文冢]~퇴비익[退飛鷁]~퇴식[退食] 1734
241 합부[合賻]~합승거[合乘車]~합영[合穎]~합잠[盍簪]~합종연횡[合縱連橫] 1733
240 타산상가공량옥[他山尙可攻良玉] ~ 타생[他生] ~ 타석조[打石條] ~ 타수[唾手] 1730
239 파선부옥선[坡仙賦玉仙]~파소[爬搔]~파신[波臣]~파심중적난[把心中賊難] 1730
238 칠귀[七鬼] ~ 칠귀[七貴] ~ 칠난감[七難堪] ~ 칠덕가[七德歌] ~ 칠도신[漆塗身] 1727
237 함제[含睇]~함지[咸池]~함지욕일[咸池浴日]~함체[陷滯] 1727
236 함벽[銜璧]~함분축원[含憤蓄怨]~함사사영[含沙射影]~함삭[銜索] 1725
235 칠관[七款] ~ 칠교[七校] ~ 칠국[七國]] 1723
234 타감적[駝堪吊] ~ 타계제장[墮髻啼粧] ~ 타괴중리소옹시[打乖中理邵翁詩] 1711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