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호손입낭[胡孫入囊]~호수[狐首]~호수[湖叟]~호수매치[胡首埋置]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44  

호소[縞素] 흰색의 상복(喪服)을 말한다.

호손입낭[胡孫入囊] 호손은 원숭이의 별칭이다. () 나라 매성유(梅聖兪)가 끝내 관직 하나를 얻지 못하다가 처음으로 당서(唐書)를 개수(改修)하라는 조칙을 받자, 자기 아내에게 내가 실록을 개수하게 되다니, 얻기 힘든 호손이 자루 속에 절로 들어온 것이나 다름없다.[吾之修書 可謂胡孫入布袋矣]”라고 했다는 일화가 구양수(歐陽脩)의 귀전록(歸田錄) 2()에 수록되어 있다.

호수[狐首] 고향 땅에 묻히고 싶어하는 인지상정을 말한다. 여우가 죽을 때에 옛날 살던 곳으로 머리를 둔다는 호사수구(狐死首丘)의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 <禮記 檀弓上>

호수[湖叟]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었던 정세아(鄭世雅)의 호이다. 자는 화숙(和叔), 본관은 연일(延日)이다.

호수[壺遂] 전한 무제 때 사람으로 양(), 즉 지금의 개봉시(開封市) 출신이다. 사마천과 함께 율력을 제정하여 무제에게 건의하였다.

호수[虎宿] 백호(白虎)의 성수(星宿)로서 즉 서방을 가리키는 말이다.

호수매치[胡首埋置] 국경을 침범하였다가 잡혀 참수된 호인의 머리를 한성부(漢城府)가 호인이 왕래할 때 지나는 길가에 묻어두어 징계가 되게 하던 것을 이른다.

호수미면랑[皓首未免郞] () 나라 풍당(馮唐)이 흰머리가 되도록 낮은 관직인 낭관으로 있다가 문제(文帝)가 마침 낭서(郞署)를 지나다가 그와 문답하여 보고 그의 인재를 알아준 일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77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317
76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315
75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313
74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313
73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312
72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1311
71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308
70 가도어인[假道於仁]~가도우거[假道于莒]~가도정의[家道正矣]~가도한위[假道韓魏] 1301
69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299
68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297
67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289
66 환저기[環滁記]~환정[宦情]~환주[環柱]~환중[環中]~환체[換遞]~환추[豢芻] 1287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