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호숭[呼嵩]~호승[胡繩]~호시[楛矢]~호시[怙恃]~호시[虎市]~호시[弧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13  

호수한사[皓首漢駟] 젊은 나이에 사신(使臣)으로 호국(胡國)에 들어가 억류생활을 하다가 19년 만에 고국에 돌아와 보니 머리가 이미 하얗게 변했다는 한() 나라 소무(蘇武)의 고사로 사람의 불우(不遇)를 뜻한다.

호숭[呼嵩] 한 무제(漢武帝)가 숭산(嵩山)에 올랐더니, 신하들이 말하기를 산이 만세(萬歲)를 세 번 부르는 소리가 들린다.”라고 하였다.

호승[胡僧] 호승은 인도의 중. 서역(西域)에서 온 중을 말한다.

호승[胡繩] 향기로운 풀 이름이다. 굴원(屈原)의 이소경(離騷經)에 자기 자신을 깨끗하고 향기롭게 가꾼다는 뜻으로 계수나무를 들어 난초 꿰달고, 호승으로 노끈을 길게길게 꼬리라.[矯菌桂以紉蘭兮 索胡繩之纚纚]”라고 하였다.

호시[楛矢] 호시는 호목(楛木)으로 만든 화살인데, 주 무왕(周武王) 때에 숙신씨(肅愼氏)가 이 화살을 조공했다는 데서, 즉 사방 오랑캐들이 중국에 귀순하여 조공함을 뜻한다. 국어(國語) 노어(魯語)공자가 진() 나라에 있을 때 새매가 진후(陳侯)의 뜨락에 날아와서 죽었는데 돌촉의 싸리나무 화살에 관통된 것이 길이가 한 자가 넘었다. 진후가 사람을 시켜 새매를 가지고 공자에게 가서 물으니 공자가 이르기를 이 새매가 멀리 왔다. 이 화살은 숙신씨(肅愼氏)의 화살이다.’라고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호시[怙恃] 믿어서 의지하는 것. 자식의 호시는 부모요, 신하의 호시는 임금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육아(蓼莪)아버지가 없으면 누구를 믿으며 어머니가 없으면 누구를 의지하랴!”라고 하였다.

호시[虎市] 저자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말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을 하면 믿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韓非子 內儲說>

호시[弧矢] 호시는 상호봉시(桑弧蓬矢)의 준말로, 아들을 낳았음을 뜻한다. 옛날에 아들을 낳으면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로 만든 화살 여섯 개로 천지(天地)와 사방(四方)을 향하여 한 개씩 쏘았던 데서 온 말인데, 그것은 곧 남아(男兒)가 사방에 웅비(雄飛)하기를 축원하는 뜻에서라고 한다. <禮記 內則>

 

 



번호 제     목 조회
5141 호가[壺歌]~호가박[胡笳拍]~호가행[浩歌行]~호가호위[狐假虎威] 1630
5140 가릉[嘉陵]~가릉[歌菱]~가릉강[嘉陵江]~가릉빈가[迦陵頻伽] 1630
5139 호문[互文]~호미[狐媚]~호박가[胡拍笳]~호배[虎拜]~호백구[狐白裘] 1637
5138 가부[賈傅]~가부[葭莩]~가부[賈傅]~가부[假父] 1641
5137 할계[割雞]~할계우도[割鷄牛刀]~할고충복[割股充腹]~할관체[鶡冠體 1643
5136 파자국[巴子國]~파적[破的]~파주위선[把酒爲船]~파죽지세[破竹之勢] 1649
5135 파파[派派]~파행[跛行]~파협원명[巴峽猿鳴]~파호위준[破瓠爲樽] 1657
5134 탁정[卓程] ~ 탁족[度足] ~ 탁중장[槖中裝] ~ 탁창랑[濯滄浪] 1661
5133 화표주[華表柱]~화표천년학[華表千年鶴]~화표학[華表鶴]~화풍난양[和風暖陽] 1664
5132 한유[韓柳]~한유[韓愈]~한음[漢陰]~한음기심[漢陰機心] 1671
5131 혜강[嵇康]~혜강라작서[嵇康懶作書]~혜강양생[嵆康養生]~혜계[醯鷄]~혜계천[醯鷄天] 1672
5130 포초[鮑焦]~포초래[蒲梢來]~포취만거[鮑臭滿車]~포편[蒲鞭] 168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