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24  

홍곡[鴻鵠] 맹자(孟子) 고자(告子) 상편에 두 사람에게 바둑을 가르치는데, 한 사람은 전심치지(專心致志)하여 혁추(奕秋)의 시키는 것만 듣고, 한 사람은 홍곡(鴻鵠)이 날아온다면 활을 당겨서 쏠 것만 생각한다.”라고 하였다. 마음에 다른 것을 생각하는 것에 대한 비유이다.

홍곡영렴연작기[鴻鵠寧嬚燕雀欺] 훌륭한 사람은 못난 사람의 업신여김을 개의치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연작은 제비나 참새 따위의 작은 새이며 홍곡(鴻鵠)은 큰 새이다. 옛날 진승(陳勝)은 자기의 뜻을 몰라주는 사람에게 연작이 어떻게 홍곡의 뜻을 알겠는가?[燕雀安知鴻鵠之志哉]”라고 하였다. <漢書 卷三十一 陳勝傳>

홍관일[虹貫日] 이른바 백홍관일(白虹貫日)의 흉조(凶兆)를 말한다. 흰 무지개는 병란(兵亂)을 상징하고 해는 임금 즉 국가를 상징한다.

홍교[虹橋] 홍교는 강소성(江蘇省)에 있는 다리로 이 지역은 옛날 초() 나라의 땅이었다.

홍교[虹橋] 홍교는 무지개 모양처럼 굽은 다리. 또는 무지개 다리로 신선들이 다니는 다리이다.

홍구[鴻溝] 전국 때 위나라가 건설한 운하로 지금의 하남성 형양시(滎陽市) 북쪽에서 황하의 물을 끌어들여 동쪽으로 흐르게 했다가 위나라의 도성인 대량(大梁 :지금의 개봉(開封))을 관통한 다음 남쪽으로 꺾어져 회양시(淮陽市)에서 영수(潁水)와 합류시켰다. 홍구는 이후로 황하유역과 회수(淮水) 사이를 연결하는 중요한 수상교통로가 되었다.

홍군[紅裙] 붉은 치마, 즉 기녀(妓女)를 지칭하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61 한제음풍[漢帝吟風]~한제폐북관[漢帝閉北關]~한주상림[漢主上林] 1370
5260 횡사[橫斜]~횡사[黌舍]~횡사곡직[橫斜曲直]~횡삭부시[橫槊賦詩] 1371
5259 화후[火候]~화훈[華勛]~화흡[化洽]~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확삭옹[矍鑠翁] 1372
5258 황유[黃楡]~황의[黃衣]~황유백초[黃楡白草]~황이[黃耳]~황이균[黃耳菌] 1372
5257 항아계수[姮娥桂樹]~항아분월[嫦娥奔月]~항액[亢軛]~항영[項嬰] 1373
5256 호량[濠梁]~호량유[濠梁游]~호려[虎旅]~호련기[瑚璉器] 1375
5255 해운삼천[海運三千]~해원[解元]~해월[海月]~해위[奚爲]~해율[嶰律]~해은[偕隱] 1379
5254 황량몽[黃粱夢]~황량미숙[黃梁未熟]~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황량지몽[黃粱之夢] 1379
5253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1379
5252 호구[狐丘]~호구[虎丘]~호구지계[狐丘之戒]~호구지책[糊口之策]~호군[護軍] 1382
5251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1383
5250 항풍항우[恒風恒雨]~항하사[恒河沙]~항해[沆瀣]~항해금경[沆瀣金莖]~항해정양[沆瀣正陽] 138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