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홍보[鴻寶]~홍부[紅腐]~홍불자[洪佛子]~홍비명명[鴻飛冥冥]~홍비준저[鴻飛遵渚]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57  

홍보[鴻寶] 홍보는 한() 나라 때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베개 속에 비장(祕藏)했다는 도술서(道術書), 즉 홍보원비서(鴻寶苑祕書)를 말한다. 이 책에는 신선이 귀신을 시켜 금단(金丹)을 만드는 방술이 적혀 있다고 한다.

홍부[紅腐] 오래되어서 붉게 썩은 곡식을 말한다. 한서(漢書) 가연지전(賈捐之傳)태창의 곡식이 붉게 썩어서 먹을 수 없다.”고 한 말이 있다.

홍불자[洪佛子] 송 나라 선화 연간에 홍호(洪皓)가 쌀을 풀어 65천 사람을 살리매 나갈 때마다 사람들이 손을 이마에 얹으며 불자(佛子)라고 불렀다. 만년에, 그가 고향으로 돌아가 어머니를 봉양하기를 청하니, 임금이 말하되 경의 뜻이 임금을 잊지 않거늘 어찌 짐을 버리고 가는가.”라고 하였다.

홍비명명[鴻飛冥冥] 기러기가 까마득하게 난다는 말로, 높이 초월하거나 멀리 가는 사람에게 비유하여 쓰는 말이다. 양자(揚子)의 법언(法言)기러기가 아득아득 날아가니 활 쏘는 사람이 어찌 잡을소냐.[鴻飛冥冥 弋人何簒焉]”라고 한 데서 보이는데, 즉 어지러운 세상을 미리 보고 벼슬자리를 떠나는 것을 비유한다.

홍비명원음[虹飛明遠飮] 한 나라 때 무지개가 내려와 궁중의 샘물을 다 마시는 바람에 물이 고갈되었다는 고사가 전하는데, 이런 현상은 재해(災害)가 앞으로 없어지는 상서(祥瑞)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漢書 武五子 燕刺王旦傳>

홍비준저[鴻飛遵渚] 얼마 후에는 조정으로 돌아가게 될 것임을 뜻한다. 시경(詩經) 빈풍(幽風) 구역(九罭)기러기는 날아서 물가를 따르나니 공이 돌아갈 곳이 없으랴.[鴻飛遵渚 公歸無所]”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이 시는 주공(周公)이 동산(東山)에 가 있을 적에, 동인(東人)들이 주공이 곧 그 곳을 떠나 조정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서로 주공을 그리워하여 부른 노래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326
5272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327
5271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327
5270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328
5269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330
5268 화류[花柳]~화륜[火輪]~화문[花門]~화미구미[畫眉求媚]~화발치진[華髮緇塵] 1336
5267 한대[漢臺]~한도혜왕[韓悼惠王]~한랑설리파[韓郞雪裏葩] 1340
5266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340
5265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341
5264 황과[皇荂]~황관[黃冠]~황구요탁[黃口謠啄]~황구첨정[黃口簽丁]~황궁[黃宮] 1347
5263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1351
5262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352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