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홍보[鴻寶]~홍부[紅腐]~홍불자[洪佛子]~홍비명명[鴻飛冥冥]~홍비준저[鴻飛遵渚]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65  

홍보[鴻寶] 홍보는 한() 나라 때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베개 속에 비장(祕藏)했다는 도술서(道術書), 즉 홍보원비서(鴻寶苑祕書)를 말한다. 이 책에는 신선이 귀신을 시켜 금단(金丹)을 만드는 방술이 적혀 있다고 한다.

홍부[紅腐] 오래되어서 붉게 썩은 곡식을 말한다. 한서(漢書) 가연지전(賈捐之傳)태창의 곡식이 붉게 썩어서 먹을 수 없다.”고 한 말이 있다.

홍불자[洪佛子] 송 나라 선화 연간에 홍호(洪皓)가 쌀을 풀어 65천 사람을 살리매 나갈 때마다 사람들이 손을 이마에 얹으며 불자(佛子)라고 불렀다. 만년에, 그가 고향으로 돌아가 어머니를 봉양하기를 청하니, 임금이 말하되 경의 뜻이 임금을 잊지 않거늘 어찌 짐을 버리고 가는가.”라고 하였다.

홍비명명[鴻飛冥冥] 기러기가 까마득하게 난다는 말로, 높이 초월하거나 멀리 가는 사람에게 비유하여 쓰는 말이다. 양자(揚子)의 법언(法言)기러기가 아득아득 날아가니 활 쏘는 사람이 어찌 잡을소냐.[鴻飛冥冥 弋人何簒焉]”라고 한 데서 보이는데, 즉 어지러운 세상을 미리 보고 벼슬자리를 떠나는 것을 비유한다.

홍비명원음[虹飛明遠飮] 한 나라 때 무지개가 내려와 궁중의 샘물을 다 마시는 바람에 물이 고갈되었다는 고사가 전하는데, 이런 현상은 재해(災害)가 앞으로 없어지는 상서(祥瑞)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漢書 武五子 燕刺王旦傳>

홍비준저[鴻飛遵渚] 얼마 후에는 조정으로 돌아가게 될 것임을 뜻한다. 시경(詩經) 빈풍(幽風) 구역(九罭)기러기는 날아서 물가를 따르나니 공이 돌아갈 곳이 없으랴.[鴻飛遵渚 公歸無所]”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이 시는 주공(周公)이 동산(東山)에 가 있을 적에, 동인(東人)들이 주공이 곧 그 곳을 떠나 조정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서로 주공을 그리워하여 부른 노래다.

 

 



번호 제     목 조회
5261 횡사[橫斜]~횡사[黌舍]~횡사곡직[橫斜曲直]~횡삭부시[橫槊賦詩] 1372
5260 한제음풍[漢帝吟風]~한제폐북관[漢帝閉北關]~한주상림[漢主上林] 1373
5259 항아계수[姮娥桂樹]~항아분월[嫦娥奔月]~항액[亢軛]~항영[項嬰] 1375
5258 화후[火候]~화훈[華勛]~화흡[化洽]~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확삭옹[矍鑠翁] 1375
5257 호량[濠梁]~호량유[濠梁游]~호려[虎旅]~호련기[瑚璉器] 1380
5256 황량몽[黃粱夢]~황량미숙[黃梁未熟]~황량일취몽[黃粱一炊夢]~황량지몽[黃粱之夢] 1381
5255 해운삼천[海運三千]~해원[解元]~해월[海月]~해위[奚爲]~해율[嶰律]~해은[偕隱] 1382
5254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1384
5253 한비세난[韓非說難]~한빙지옥[寒氷地獄]~한빙처[韓凭妻] 1386
5252 항풍항우[恒風恒雨]~항하사[恒河沙]~항해[沆瀣]~항해금경[沆瀣金莖]~항해정양[沆瀣正陽] 1386
5251 호구[狐丘]~호구[虎丘]~호구지계[狐丘之戒]~호구지책[糊口之策]~호군[護軍] 1386
5250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38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