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홍이포[紅夷砲]~홍익인간[弘益人間]~홍일점[紅一點]~홍자[紅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964  

홍의[紅衣] 천주교(天主敎)를 이른다. 홍의주교(紅衣主敎).

홍이상[洪二相] 홍언박(洪彦博)을 가리킨다.

홍이포[紅夷砲] 성능이 우수한 대포를 말한다. 홍이(紅夷)는 안남(安南)의 서쪽에 있는 나라로 대포를 잘 만들었다.

홍익인간[弘益人間]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국조(國祖) 단군(檀君)의 건국이념으로 고조선개국 이래 우리나라 정치, 교육의 기본정신이다.

홍익인간[弘益人間] 널리 인간세상(人間世上)을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이는 단군(檀君)의 건국이념(建國理念)으로서, 우리 나라 정교(政敎)의 최고 이념이다.

홍일점[紅一點] 본래는 푸른 잎 가운데 오직 한 송이 붉은 꽃이 피어 있는 것, 혹은 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특별한 것을 가리킨다. 오늘날에는 많은 남자들 사이에 단 한 사람뿐인 여자를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인다.

홍자[紅紫] 홍색(紅色)과 자색(紫色)의 꽃을 말한다. 논어(論語) 양화(陽貨)간색(間色)인 보랏빛이 정색(正色)인 적색(赤色)의 지위를 침범하는 것이 보기 싫고, 음란한 정() 나라 노래가 아악(雅樂)을 어지럽히는 것이 밉다.”는 공자의 말이 실려 있는데, 여기에서 홍자탈주(紅紫奪朱)’라는 성어(成語)가 나오게 되었다.

홍장[紅粧] 홍장은 주로 어여쁜 여인을 뜻하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77 가각고[架閣庫]~가거[家居]~가거식육[駕車食肉]~가거정묘[家居丁卯] 955
76 홍점[鴻漸]~홍점반[鴻漸磐]~홍정[紅丁]~홍정[紅亭]~홍준저[鴻遵渚] 953
75 가독[家督]~가돈[嘉遯]~가돈실[賈敦實]~가돈이[賈敦頤] 953
74 혼탈무[渾脫舞]~혼혼[渾渾]~혼혼[惛惛]~홀만상[笏滿牀] 952
73 가사[歌斯]~가사가치[家事可治]~가사과상[可使過顙]~가사급[加四級]~가사도[賈似道] 951
72 화옥산구[華屋山丘]~화완포[火浣布]~화왕[花王]~화요입벽도[花妖入壁逃] 949
71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948
70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944
69 가부가[柯斧歌]~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가부상제[可否相濟] 943
68 화시[華始]~화식[火食]~화식전[貨殖傳]~화신풍[花信風]~화씨박[和氏璞] 942
67 황하소식[黃河消息]~황하재보[黃河再報]~황학루[黃鶴樓]~황학유선[黃鶴遊仙] 941
66 효표론[孝標論]~효회호음[鴞懷好音]~효효[囂囂]~효휴애일[孝虧愛日] 941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