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화봉삼축[華封三祝]~화불단행[禍不單行]~화사첨족[畵蛇添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31  

화봉[華封] () 임금 때에 화봉(華封) 사람이 요 임금에게 ((다남자(多男子)’의 세 가지 일로 축수했다는 화봉삼축(華封三祝)의 준말로, 곧 임금에게 축수하는 것을 뜻한다. <莊子 天地>

화봉삼축[華封三祝] 옛날 화()의 봉인(封人)이 요()를 두고 수((다남자(多男子)를 축원했다는 고사이다. <莊子 天地>

화봉인[華封人] () 땅의 봉인이란 뜻인데, () 임금이 화 땅을 시찰나갔을 때 그 봉인이 요임금에게 수((다남자(多男子) 세 가지로 축원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莊子 天地>

화불단행[禍不單行] 불행은 홀로 가지 않음. 불행은 종종 하나로 그치지 않고 여러 개가 잇달아 한꺼번에 옴을 이른다.

화사[畫蛇] 화사첨족(畫蛇添足)의 준말로, 뱀은 본디 발이 없는데 발을 그린다는 뜻으로서 즉 소용없는 일을 비유한 말이다.

화사착족[畫蛇着足] 옛 사람이 술 한 잔을 놓고는 각각 뱀을 그려서 먼저 그리는 사람이 그 술을 마시기로 하였는데 한 사람이 먼저 그려서 다시 뱀의 발을 그렸다. 나중 그린 사람이 말하기를 너는 먼저 그렸어도 발이 있는 것은 뱀이 아니다.”라 하고는 술을 빼앗아 먹었다. <戰國策>

화사첨족[畵蛇添足] 뱀을 그리면서 실물에는 없는 발을 더하여 그림. 쓸데없는 짓, 안 해도 될 쓸데없는 일을 덧붙여 하다가 도리어 일을 그르침을 이른다. 사족(蛇足).

 

 



번호 제     목 조회
4817 책상퇴물[冊床退物] ~ 책시[簀尸] ~ 책시범자[簀尸范子] 1930
4816 치모팽아[癡姥烹鵝] ~ 치민[淄澠] ~ 치빙노씨계[馳騁老氏戒] 1931
4815 치아요사[癡兒了事] ~ 치애[癡獃] ~ 치연[癡掾] ~ 치예[雉鷖] 1934
4814 녹포[綠蒲] ~ 녹피옹[鹿皮翁] ~ 녹황[鹿隍] 1935
4813 분각간서[焚却諫書] ~ 분갱모[焚坑謀] ~ 분경[紛更] 1935
4812 마경[馬卿] ~ 마경가[馬卿家] ~ 마경유공[馬卿遊邛] 1936
4811 비비[悱悱] ~ 비비낙설[霏霏落屑] ~ 비비유지[比比有之] 1938
4810 대독[帶犢] ~ 대동비[大同碑] ~ 대동천[大洞天] 1940
4809 홍문[鴻門]~홍범구주[洪範九疇]~홍범수[洪範數]~홍벽천구[弘璧天球] 1940
4808 대사명[大司命] ~ 대삼[待三] ~ 대성[戴星] 1943
4807 무릉생추초[茂陵生秋草] ~ 무릉선촌[武陵仙村] ~ 무릉소갈객[茂陵消渴客] 1943
4806 초로인생[草露人生] ~ 초록동색[草綠同色] ~ 초록반혹황중객[蕉鹿反惑隍中客] 194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