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화웅[畫熊]~화웅권학[和熊勸學]~화원[華元]~화월[花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16  

화웅[畫熊] 수레의 식()을 곰의 형상으로 꾸민 화려한 수레를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여복지 상(輿服志上)삼공(三公)과 열후(列侯)는 녹교(鹿較웅식(熊軾)에 검은 깃발을 단 수레를 탑승한다.”고 하였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中丞問俗畫熊頻 愛弟傳書綵鷁新이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8 奉送蜀州柏二別駕 將中丞命 赴江陵 起居衛尙書太夫人 因示從弟行軍司馬位>

화웅권학[和熊勸學] 어머니가 자식 교육에 정성을 들인 것을 비유한 말이다. () 나라 때 유중영(柳仲郢)의 모친 한씨(韓氏)가 곰의 쓸개를 수종(數種)의 약재와 섞어 환()을 지어서 공부하는 여러 자식들에게 주었던 데서 온 말이다.

화원[花園] 고려 최영(崔瑩)이 송도(松都)의 화원(花園)에서 이성계(李成桂)에게 잡혔다.

화원[華元] 춘추 시대 송() 나라 우사(右師)로서, 어느날 염소를 잡아서 그 부하 군사를 먹이는데, 그 어자(御者) 양짐(羊斟)이 참여하지 못하였다. 급기야 싸우는데 양짐이 말하기를 지난날 염소는 그대 마음대로 했으니, 오늘날 일은 내 마음대로 하겠다.”고 하였다.<左傳 宣公 二年>

화원귀[華元歸] 화원(華元)은 춘추 시대 송() 나라 장군으로, 침입해 온 정() 나라 군대와 맞서 싸우던 중에, 앙심을 품은 마부가 수레를 몰고 적진으로 들어가는 바람에 포로로 잡혔다가 다시 도망쳐 돌아온 고사가 있다. <史記 卷38 宋微子世家>

화월[花月] 아름다운 기첩(妓妾)을 비유한다. () 나라 때 무삼사(武三思)에게 소아(素娥)라는 기첩이 있어 천하의 절색(絶色)이었으므로, 당시 사대부들이 모두 가서 구경을 하는지라, 적인걸(狄仁傑) 역시 따라가 보았더니, 그녀가 나오지 않고 벽 틈에 숨어서 말하기를 나는 화월(花月)의 요괴(妖怪)로 상제(上帝)의 명을 받고 공(; 무삼사를 가리킴)의 마음을 방탕하게 만들려고 내려왔는데, 적공(狄公)은 한 시대의 정인(正人)이므로 내가 만나볼 수 없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973 철목씨[鐵木氏]~ 철문한[鐵門限] ~ 철부지급[轍鮒之急] 2011
4972 청규[靑規] ~ 청금무[淸琴撫] ~ 청낭결[靑囊訣] 2012
4971 화담[花潭]~화당전위[畫堂傳位]~화덕[火德]~화도박수[鞾刀帕首]~화두[話頭] 2012
4970 치첩[雉堞] ~ 치초[鵗超] ~ 치현보[治縣譜] 2014
4969 화택[火澤]~화택천대[火宅泉臺]~화토필[花吐筆]~화판[花判]~화포[和炮] 2014
4968 화자[華子]~화자발[和子鉢]~화잠[華簪]~화재어호한[禍在魚狐閒]~화저[花猪] 2015
4967 홍렬[鴻烈]~홍로[洪鑪]~홍로점설[紅爐點雪]~홍루[紅淚]~홍류적[鴻留迹] 2017
4966 화웅[畫熊]~화웅권학[和熊勸學]~화원[華元]~화월[花月] 2017
4965 삼숙[三宿]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 삼숙출주[三宿出晝] 2018
4964 천심선허두견지[天心先許杜鵑知] ~ 천악[天樂] ~ 천안변초균[天眼辨楚菌] 2019
4963 청전선[靑錢選] ~ 청전작[靑錢鷟] ~ 청점[靑黏] 2019
4962 청노[靑奴] ~ 청담아융[淸談阿戎] ~ 청동[靑童] 202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