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확상포[矍相圃]~확호불발[確乎不拔]~환각주인지[喚却主人知]~환결[環玦]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73  

확상[矍相] 확상은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의 성 안 궐리(闕里)의 서쪽에 있는 지명으로, 공자가 이곳에서 활쏘기를 하였다고 한다.

확상사[矍相射] 확상은 지명인데, 공자(孔子)가 일찍이 문인들과 함께 확상의 채마밭에서 대사례(大射禮)를 행했던 데서 온 말이다. <禮射義>

확상의[矍相儀] 확상은 중국 산동성 곡부현(曲阜縣)에 있는 지명이다. 확상포(矍相圃)라 한다. 공자가 이 곳에서 활쏘기를 하였다.<禮記 射義>

확상포[矍相圃] 공자가 제자들과 활쏘기를 익혔다는 곳으로 산동(山東) 곡부현(曲阜縣) 궐리(闕里) 서쪽에 있는 지명이다. <禮記 射義>

확호불발[確乎不拔] 매우 든든하여 흔들리지 아니함을 이른다.

확확[廓廓] 공허한 모양.

[] 빙 둘려 끊어지지 않은 고리.

환각주인지[喚却主人知] 주희(朱熹)가 이르기를 서암(瑞巖)의 중[]은 매일 항상 스스로 자신에게 묻기를 주인옹(主人翁)은 성성(惺惺)하는가?’라 하고, 또 스스로 답하기를, ‘성성하노라.’고 하였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心經 卷一>

환갑[還甲] 61. 태어난 해의 갑()이 다시 돌아옴(). 회갑(回甲). 화갑(華甲).

환결[環玦] 옛적에 신하가 죄를 얻어 쫓겨나면 국경에서 임금의 명령을 기다린다. 임금이 환()을 주면 돌아오라[]는 것이요, 틈이 벌어진 결()을 주면 영영 오지 말라[]는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65 천막[天幕] ~ 천망불루[天網不漏] ~ 천망자속망[天亡自速亡] 2062
4864 북고[北固] ~ 북궁영아[北宮嬰兒] ~ 북극성[北極星] 2064
4863 청포[靑蒲] ~ 청풍백로[靑楓白露] ~ 청풍일탑[淸風一榻] 2064
4862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065
4861 운몽부족탄[雲夢不足呑] ~ 운몽탄흉장[雲夢呑胸腸] ~ 운문흥[雲門興] 2067
4860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069
4859 청아[菁莪] ~ 청아낙수[靑蛾落水] ~ 청안[靑眼] 2071
4858 명용계의[明用稽疑] ~ 명운종수[命隕從獸] ~ 명원루[明遠樓] 2074
4857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076
4856 채근백사[菜根百事] ~ 채녀가[蔡女笳] ~ 채도주[蔡道州] 2077
4855 녹린[綠鱗] ~ 녹림[綠林] ~ 녹림호객[綠林豪客] 2079
4854 부량가[浮梁賈] ~ 부로행간로면유[父老行看露冕遊] ~ 부림[傅霖] 207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