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환속[還俗]~환신[幻身]~환심수초부[還尋遂初賦]~환아경[換鵝經]~환아서[換鵞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31  

환속[還俗] 승려가 되었다가 다시 본가(本家)로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송서(宋書)사문(沙門) 혜휴(惠休)가 문장을 잘하므로, 세조(世祖)는 명하여 그로 하여금 환속하게 했다. 본래 성()은 탕()이었다.”라고 하였다.

환속절교인[還屬絶交人] 혜강이 산도(山濤)에게 아들 혜소(嵇紹)의 일을 부탁한 것을 말한다. 혜강이 일찍이 산거원(山巨源)에게 여산거원절교서(與山巨源絶交書)를 보냈었는데, 형장(刑場)에서 아들 혜소에게 말하기를 거원이 있으니, 네가 고아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巨源在 汝不孤矣]”라고 하였다. 산도는 그 뒤에 과연 혜소를 천거하여 비서승(祕書丞)으로 삼았다. <晉書 嵇康傳·蒙求 中 嵇紹不孤>

환신[幻身] 갑자기 나타났다 사라지는 영상과 같은 것이 사람의 몸이라는 불교의 용어(用語)이다.

환심수초부[還尋遂初賦] 원래 뜻했던 은거 생활로 되돌아간 것을 말한다. () 나라 손작(孫綽)이 천태산(天台山) 자락인 적성산(赤城山)에 푯말을 세우고 은거 생활을 즐기면서 수초부(遂初賦)’를 지었는데, 뒤에 벼슬하다가 환온(桓溫)의 뜻을 거슬려 반대 상소를 올리자, 환온이 불쾌하게 여기면서 말하기를 그대는 어찌하여 수초부대로 살려 하지 않고 남의 국가에 대한 일을 간섭하는가.[何不尋君遂初賦 知人家國事邪]”라고 했던 고사가 전해 온다. <晉書 孫綽傳> 참고로 손작의 천태산부(天台山賦)’赤城霞起而建標라는 시구가 있다.

환아경[換鵝經] () 나라 때 명필 왕희지(王羲之)가 거위를 매우 좋아하여, 도사(道士)의 집에 거위가 있음을 보고는 그것을 갖고 싶어하자, 그 도사가 도덕경(道德經)을 써 주면 거위를 주겠노라.”고 하니, 왕희지가 마침내 도덕경을 써 주고 그 거위를 가져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환아서[換鵞書] () 나라의 왕희지(王羲之)가 평소 거위를 사랑하였는데, 하루는 산음 도사(山陰道士)에게 거위가 많이 있다는 말을 듣고 가서 글씨를 써 주고 거위를 둥우리 째 가져왔다는 고사를 인용한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01 항왕목중동[項王目重瞳]~항요[恒曜]~항장검무[項莊劒舞]~항주소일[杭州消日] 1471
5200 협탄[鋏彈]~협파개[愜爬疥]~협협[歙歙]~협협균박새[挾筴均博塞]~형[荊] 1473
5199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1473
5198 포옹장인[抱甕丈人]~포옹한음[抱甕漢陰]~포용도[包龍圖]~포육천교[飽肉天驕] 1475
5197 해상도[海上桃]~해상유의[海上留衣]~해서[楷書]~해성[諧聲] 1475
5196 포어불구조룡취[鮑魚不救祖龍臭]~포어석[鮑魚石]~포연[酺宴] 1476
5195 합좌[合坐]~합패여건도[合佩呂虔刀]~합포주[合浦珠]~합포환주[合浦還珠] 1478
5194 화정[和靖]~화정사녹[和靖辭祿]~화정지학[華亭之鶴]~화정학려[華亭鶴唳] 1481
5193 팔대쇠[八代衰]~팔대수[八大藪]~팔두문장[八斗文章]~팔룡운전[八龍雲篆] 1484
5192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1484
5191 해의반박[解衣盤礡]~해자괴[諧者怪]~해장[海藏]~해정오두[解酲五斗]~해제참[解齊驂] 1484
5190 가매[假寐]~가명사가인[佳茗似佳人]~가명인세[假名因勢]~가모[家母]~가모[加耗] 148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