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활락도[豁落圖]~활인원[活人院]~황각[黃閣]~황각조갱[黃閣調羹]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53  

활계회종리지서[活計會從犂地鼠] 두더지는 땅을 마치 쟁기질하듯 뒤지는 것이므로, 전하여 농사지어 먹고사는 데에 비유한 말이다.

활락도[豁落圖] 몸을 수양하는 방법이 적혀 있는 도서(道書)를 말한다.

활연[豁然] 문득, 갑자기.

활인원[活人院] 전에 벼슬하던 문사(文士)로서 승문원(承文院)에 들어와 학관(學官)이 되었다가 이로 말미암아 다시 벼슬길에 오르게 된 사람이 많으므로, 사람을 다시 살리는 곳이라 하여 승문원의 별명이 된 말이다.

활활[滑滑] 진흙이 미끄러운 모양.

활활[活活] “활활은 틀린 독음, 올바른 독음과 뜻은 괄괄; 물이 기운차게 흐르는 소리, 미끄러운 것, 진창을 걷는 일이다.

[] 피리 등의 악기의 얇은 떨림판, 즉 리드(reed)이다. 혀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보통 갈대로 만든다.

[] 하남성 란고현(蘭考縣) 서쪽 두량진(杜良鎭)을 말한다.

황각[黃閣] 한대(漢代)에 승상(丞相)이 나라 일을 보던 곳을 황각이라 불렀는데, 그곳 문을 누런색으로 칠했었기 때문이다. () 나라 때에는 문하성(門下省)도 황각이라 불렀다. 자각(雌閣)이라고도 하는 것은 옛날엔 노란 칠을 흔히 자황(雌黃)으로써 했기 때문이다.

황각조갱[黃閣調羹] 의정부(議政府)에서 국가의 정사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황각은 의정부의 별칭이고, 국을 끓인다는 것은 재상이 국가의 일을 다스리는 것을 비유한 말로, 서경(書經) 열명 하(說命下)만약 국을 끓일 경우에는 너를 소금과 매실로 삼겠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37 형등[螢燈]~형림[蘅林]~형만[荊蠻]~형모[衡茅]~형문[衡門] 1801
436 초백주[椒柏酒] ~ 초벽도[楚璧盜] ~ 초복록[蕉覆鹿] 1800
435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1799
434 호위[虎闈]~호위문견[胡威問絹]~호유[胡荽]~호의[狐疑]~호의[縞衣] 1799
433 환기조[喚起鳥]~환노훈[換爐熏]~환득환실[患得患失]~환로적신[宦路積薪]~환륜[奐輪] 1797
432 황강유편[黃崗遺篇]~황강적[黃岡跡]~황견묘[黃絹妙] ~황견유부[黃絹幼婦] 1797
431 복력[伏櫪] ~ 복렵지재[卜獵之載] ~ 복례위인유극기[復禮爲仁由克己] 1793
430 징칙[徵則] ~ 징하례[徵夏禮] ~ 차공하사작무다[次公何事酌無多] 1793
429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1789
428 측조[側調] ~ 측천[則天] ~ 층층련약구[層層連若姤] 1786
427 호사다마[好事多魔]~호사수구[狐死首丘]~호사유피[虎死留皮]~호사휴호지[好事携壺至] 1786
426 사지[謝池] ~ 사지금[四知金] ~ 사지오등[死之五等] 1785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