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황간[黃幹]~황감동정[黃柑洞庭]~황강[黃崗]~황강고사[黃崗故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53  

황간[黃幹] 황간은 주희(朱熹)의 사위이며 고제(高弟)로서 호는 면재(勉齋)이다. 주희가 일찍이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가 상례(喪禮제례(祭禮) 두 편을 황간에게 맡겨 이를 완성하게 하였으며, 임종시에 그에게 도통(道統)을 전했다. <宋史 卷四百三十>

황감[黃甘] 황감은 황감(黃柑)과 같은 것으로 밀감을 이른다.

황감동정[黃柑洞庭] 황감(黃柑)은 동정(洞庭)에서 나는 것이 유명하다.

황감저작[黃甘抵鵲] 중원(中原)에서는 귀중히 여기는 것을 변방에서는 천히 여긴다는 뜻이다. 곤산(昆山)의 곁에서는 옥이 흔한 때문에 옥박(玉璞)을 까마귀나 까치에게 던져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황갑[黃甲] 과거(科擧)의 갑과(甲科)에 급제한 사람을 이른다. 갑과 급제자의 명단(名單)은 특히 황지(黃紙)에 썼던 데서 온 말이다.

황강[黃崗] 일명 황강(黃岡)으로, 유배지(流配地)를 뜻하는 말이다. () 나라 신종(神宗) 원풍(元豐) 5(1082) 즉 적벽부(赤壁賦)를 짓게 된 임술년(壬戌年)에 소동파(蘇東坡)가 그곳으로 귀양을 갔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황강[黃岡] 황주(黃州)의 별칭이다.

황강고사[黃崗故事] () 나라 신종(神宗) 원풍(元豐) 연간에 소동파(蘇東坡)가 황강(黃崗)에 귀양갔을 때 그의 아우 자유(子由)도 균주(筠州)로 좌천되어 내려왔으므로 오랜만에 해후하여 함께 노닌 고사가 있는데, 소동파의 감구시(感舊詩) 서문에 그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蘇東坡詩集 卷33>

 

 



번호 제     목 조회
389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2050
388 천심선허두견지[天心先許杜鵑知] ~ 천악[天樂] ~ 천안변초균[天眼辨楚菌] 2045
387 청노[靑奴] ~ 청담아융[淸談阿戎] ~ 청동[靑童] 2043
386 천상린[天上麟] ~ 천상방허석[天上方虛席] ~ 천상자기성[天上自騎星] 2041
385 함향기초[含香起草]~함향봉군[含香奉君]~함휼[銜恤]~함흥차사[咸興差使] 2039
384 청전선[靑錢選] ~ 청전작[靑錢鷟] ~ 청점[靑黏] 2038
383 청삼[靑衫] ~ 청상[靑箱] ~ 청상조[淸商調] 2037
382 화웅[畫熊]~화웅권학[和熊勸學]~화원[華元]~화월[花月] 2037
381 화자[華子]~화자발[和子鉢]~화잠[華簪]~화재어호한[禍在魚狐閒]~화저[花猪] 2037
380 청색심전구[淸塞心傳句] ~ 청석령[靑石嶺] ~ 청소로기회[淸嘯虜騎廻] 2036
379 화택[火澤]~화택천대[火宅泉臺]~화토필[花吐筆]~화판[花判]~화포[和炮] 2036
378 삼숙[三宿] ~ 삼숙상하지연[三宿桑下之戀] ~ 삼숙출주[三宿出晝] 2035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