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황복[荒服]~황봉주[黃封酒]~황분[皇墳]~황비자달[黃扉紫闥]~황비피현[黃扉避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966  

황복[荒服] 오복(五服)의 하나로, 중국 경사(京師)에서 25백 리 떨어진 변원(邊遠)을 가리킨다. 사기(史記) 주 본기(周本紀)이만(夷蠻)은 요복(要服)이요, 융적(戎翟)은 황복(荒服)이다.”라는 말이 있다. ()하여 교화 밖의 만이(蠻夷)를 가리킨다.

황봉[黃封] 임금이 하사한 술을 이른다. 궁중에서 빚은 술은 누른비단으로 봉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궁중의 맛좋은 술을 가리킨다.

황봉주[黃封酒] 임금이 하사한 술.

황분[皇墳] 삼황(三皇)의 분서(墳書)라는 뜻으로, 즉 복희(伏羲신농(神農황제(黃帝)의 글을 말한다. <孔安國 尙書序>

황비[黃扉] 승상, 삼공(三公), 급사중(給事中) 등 최고위 관원을 가리키는 말로, 그들의 문에 황색 칠을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황비자달[黃扉紫闥] 주황색 문은 재상의 집을, 보라색 문은 대궐을 가리킨다.

황비주획[黃扉籌畫] 정승의 위치에서 수립한 정책을 말한다. 옛날 승상이나 삼공(三公) 등의 집무실에는 황색으로 문을 칠했는데, 이를 황비(黃扉)라 하였다.

황비피현[黃扉避賢] 재상의 지위를 후배에게 물려주려고 했다는 말이다. 옛날에 재상 등 고관의 관청 문을 황색으로 칠했던 고사가 있다. 피현(避賢)은 현재(賢才)에게 길을 비켜 준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97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964
5296 황복[荒服]~황봉주[黃封酒]~황분[皇墳]~황비자달[黃扉紫闥]~황비피현[黃扉避賢] 967
5295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967
5294 환한[渙汗]~환해[宦海]~환호도강[懽虎渡江]~환혼[還魂]~환환[渙渙] 969
5293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971
5292 홍라기성[紅羅記姓]~홍려시[鴻臚寺]~홍련막[紅蓮幕] 972
5291 황하소식[黃河消息]~황하재보[黃河再報]~황학루[黃鶴樓]~황학유선[黃鶴遊仙] 973
5290 호손입낭[胡孫入囊]~호수[狐首]~호수[湖叟]~호수매치[胡首埋置] 979
5289 황계[璜溪]~황계[荒鷄]~황계[黃鷄]~황고산[黃孤山]~황고집[黃固執] 979
5288 효표론[孝標論]~효회호음[鴞懷好音]~효효[囂囂]~효휴애일[孝虧愛日] 979
5287 가각고[架閣庫]~가거[家居]~가거식육[駕車食肉]~가거정묘[家居丁卯] 981
5286 가도고문[賈島敲門]~가도려과[賈島驢跨]~가도멸괵[假道滅虢]~가도벽립[家徒壁立] 98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