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황향온정[黃香溫凊]~황화곡[黃華曲]~황화오백년[黃花五百年]~황화재[皇華才]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114  

황향[黃香] 가난한 집안에서 겨울에는 자기 몸의 체온으로 이부자리를 따뜻하게 해 드리고, 여름에는 침상에서 시원하게 부채를 부쳐 드리는 등 극진하게 어버이를 모셨다는 후한(後漢)의 효자 이름이다. <東觀漢記 黃香>

황향온정[黃香溫凊] 온정은 아들이 어버이를 봉양함에 있어 겨울에는 따습게 하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리는 것으로, 전하여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하는 것을 이르는데, 후한(後漢) 때 황향(黃香)이 어려서 모친을 여의고 아버지를 섬기면서 항상 여름이면 부친의 와상과 베개에 부채질을 하여 시원하게 하고, 겨울이면 자신이 부친의 이부자리 속에 먼저 드러누워 자리를 따습게 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八十>

황형영자[煌螢映字] ()의 손강(孫康)이 등유(燈油)가 없어 눈[]빛을 이용하여 글을 읽었던 고사를 인용하였다.

황홀[恍惚] 가누지 못하다. 정신이 아득하다.

황홀[怳惚] 어렴풋이 있는 듯도 하고 없는 듯도 하다는 뜻에서 즉 도()를 가리킨 말이다.

황홀[荒忽] 정신이 아득한 모양. 아득하다.

황화[皇華] 사신 행차를 말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황황자화(皇皇者華)皇皇者華 于彼原隰 駪駪征夫 每懷靡及에서 나온 말이다.

황화[皇華]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편명인 황황자화(皇皇者華)의 약칭으로, 곧 천자의 사신을 일컫는 말이다. 황황자화서(皇皇者華序)황황자화는 임금이 사신을 보낼 적에 예악(禮樂)으로써 보내는 것이니, 멀리 가서 빛냄이 있을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황화곡[黃華曲] 황화는 중국 조() 나라 서울 한단(邯鄲)에 있는 산 이름으로 그 주위의 민간에서 부르는 평범한 곡이다. 백악천시집(白樂天詩集) 2 속고시십수(續古詩十首)한단에서 창녀(倡女)를 진상했는데 황화라 그 곡조를 능히 불렀네.[邯鄲進倡女 能唱黃華曲]”라고 하였다.

황화오백년[黃花五百年] 장한(張翰)의 시()누른 꽃이 마치 금을 뿌려놓은 것 같다.[黃花如散金]”는 명귀(名句)가 있다. 이백(李白)의 시에 장한의 황화귀는 풍류 오백 년이로다.[張翰黃花句風流五百年]”라고 한 귀가 있다. 그것은 장한과 이백의 사이가 오백년이 된 것이었다.

황화재[皇華才] 황화는 본디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편명(篇名)인데, 사신으로 가서 시를 짓는 재주를 말한다.

황화절[黃花節] 99일의 중양절(重陽節)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321 황자[皇子]~황자파[皇子陂]~황작풍[黃雀風]~황장사우게[黃腸思苃憩] 1160
5320 가군[家君]~가권이회[可卷而懷]~가규[賈逵] 1162
5319 황옥거[黃屋車]~황우[黃虞]~황우지혁[黃牛之革]~황우패[黃牛佩] 1163
5318 황종[黃鐘]~황종률[黃鍾律]~황종재동[黃鐘纔動]~황종해우이[黃鍾駭牛耳] 1167
5317 획어가[畫魚歌]~획연[謋然]~획일[畫一]~획지성하[畫地成河]~획지위뢰[劃地爲牢] 1177
5316 가기이대[可跂而待]~가기이방[可欺以方]~가기충려[佳氣充閭]~가남풍[賈南風] 1179
5315 가상[可尙]~가상원령[假湘源令]~가색[稼穡]~가생[賈生] 1182
5314 홍운[紅雲]~홍운전[紅雲殿]~홍유보불[弘儒黼黻]~홍유효법곤[鴻猷效法坤] 1211
5313 황하소식[黃河消息]~황하재보[黃河再報]~황학루[黃鶴樓]~황학유선[黃鶴遊仙] 1215
5312 황곡[黃鵠]~황공로[黃公壚]~황공비략[黃公祕略]~황공주로[黃公酒壚] 1216
5311 혼탈무[渾脫舞]~혼혼[渾渾]~혼혼[惛惛]~홀만상[笏滿牀] 1219
5310 황계[璜溪]~황계[荒鷄]~황계[黃鷄]~황고산[黃孤山]~황고집[黃固執] 1219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