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계야목[家鷄野鶩]~가계야치[家鷄野雉]~가고[笳鼓]~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287  

가계야목[家鷄野鶩] 자기 것을 싫어하고 남의 것을 좋아하는 것의 비유이다. () 나라 유익(庾翼)아이들이 가계(家鷄)는 싫어하고 야목(野鶩)만 좋아하여 모두들 왕희지(王羲之)의 서체를 배운다…….” 한 데서 유래된 말이다.

가계야목[家鷄野鶩] 집닭과 들오리란 뜻으로, ()나라 때 서가(書家)였던 유익(庾翼)이 왕희지와 명성을 겨루던 때에 자기의 서법을 우세하게 여겨 집닭에 비유하고, 왕희지의 서법을 경멸하여 들오리에 비유했던 데서 온 말이다. 소식(蘇軾)의 서유경문좌장소장왕자경첩(書劉景文左藏所藏王子敬帖) 시에 집닭과 들오리는 똑같이 제기에 올랐거니와, 봄 지렁이 가을 뱀은 다 화장대로 들어갔는데, 그대 집에 소장한 글씨 두 줄에 열두 자는, 그 기개가 업후의 삼만 축을 압도하다마다.[家鷄野鶩同登俎 春蚓秋蛇總入奩 君家兩行十二字 氣壓鄴侯三萬籤]”라고 하였다. <蘇東波詩集 卷32>

가계야치[家鷄野雉] 집안에서 기르는 닭과 산의 꿩. 자기 집의 닭은 싫어하고 들의 꿩은 좋아한다는 뜻으로 집안의 좋은 것은 돌보지 않고 밖의 나쁜 것을 탐낸다는 말이다.

가고[笳鼓] 가고(笳鼓)는 날라리와 북소리라는 뜻으로 군악(軍樂)을 가리킨다.

가고[笳鼓] 임금이 있는 곳을 가리킨다. 두보(杜甫)의 시 증좌복야정국공엄공무(贈左僕射鄭國公嚴公武)() 땅 강산에서 오는 상황(上皇) 즉 현종(玄宗)의 사자가 없자, 가고가 울리는 속에서 숙종황제(肅宗皇帝)의 사모하는 정이 엉겼다.[江山少使者 笳鼓凝皇情]”라는 시구에서 유래한 것이다. <杜少陵詩集 卷16 八哀詩>

가고[笳鼓] 호가(胡笳)와 북을 합칭한 말인데, 옛날 군중(軍中)에서 이것들을 사용했던 데서 전하여 군악(軍樂)을 가리킨다.

 

 



번호 제     목 조회
77 한대[漢臺]~한도혜왕[韓悼惠王]~한랑설리파[韓郞雪裏葩] 1344
76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344
75 화류[花柳]~화륜[火輪]~화문[花門]~화미구미[畫眉求媚]~화발치진[華髮緇塵] 1343
74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335
73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333
72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331
71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330
70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330
69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329
68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1327
67 가도어인[假道於仁]~가도우거[假道于莒]~가도정의[家道正矣]~가도한위[假道韓魏] 1325
66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316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