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군[家君]~가권이회[可卷而懷]~가규[賈逵]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158  

가군[家君] 자신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이다.

가권이회[可卷而懷]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거백옥은 군자답도다. 나라에 도가 있으면 나아가 벼슬을 하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거두어 속에다 감추어 두는구나.[君子哉蘧伯玉 邦有道則仕 邦無道則可卷而懷之]”라는 공자의 말이 나온다.

가규[賈逵] 가규는 동한(東漢) 때 사람. 자는 경백(景伯). 오경(五經)과 좌씨전(左氏傳)에 통하고 겸하여 곡량전(穀梁傳)에 대한 오가(五家)의 설에 밝았다. 저서에 경전의고(經典義詁) 및 논난(論難) 1백여 권이 있다. <後漢書 卷66>

가규[賈逵] 동한 평릉인(平陵人)이다. 자는 경백(景伯)이다. 어려서 부친에게 학업을 배워 좌씨전(左氏傳)에 통달하고 대하후(大夏侯)의 상서(尙書)를 배우고 곡량설(穀梁說)까지 겸하였다. 좌씨전(左氏傳)이 당시의 참위서(讖緯書)와 내용이 부합하는 것이 많다 하여 고문경(古文經)의 학술적 지위를 높이고 박사관에 세울 것을 청하였다. 저술로 춘추좌씨전해고(春秋左氏傳解詁)와 국어해고(國語解詁)가 있다. <後漢書 賈逵傳>

가규[賈逵] ()나라 양릉(襄陵) 사람으로 자는 양도(梁道), 시호는 숙()이다. 벼슬은 강읍장(絳邑長예주자사(豫州刺史)를 역임하였다. 예주자사 재임 중에 200리의 운거(運渠)를 개설하여 그 운거를 가후거(賈侯渠)라 불렀다. <三國志 卷15>

 

 



번호 제     목 조회
5285 가군[家君]~가권이회[可卷而懷]~가규[賈逵] 1159
5284 가교[駕轎]~가구[可口]~가구[家丘]~가구가대[可久可大]~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1216
5283 가관동[葭管動]~가관례[假館禮]~가관비회[葭管飛灰]~가관회미양[葭琯廻微陽] 1066
5282 가과[嘉瓜]~가관[葭琯]~가관[歌管]~가관[加官]~가관[假館] 1060
5281 가고가하[可高可下]~가고분[歌叩盆]~가곡[歌哭]~가공[加功]~가공언[賈公彦] 1353
5280 가계야목[家鷄野鶩]~가계야치[家鷄野雉]~가고[笳鼓]~ 1282
5279 가경[家經]~가경[家慶]~가경리[嘉慶李]~가계[假繼]~가계[假髻]~가계[家雞] 1095
5278 가각고[架閣庫]~가거[家居]~가거식육[駕車食肉]~가거정묘[家居丁卯] 1232
5277 가가[架架]~가가[哥哥]~가가대소[呵呵大笑]~가가문전[家家門前] 1020
5276 효표론[孝標論]~효회호음[鴞懷好音]~효효[囂囂]~효휴애일[孝虧愛日] 1217
5275 효성왕[孝成王]~효시[嚆矢]~효아총[孝鵝塚]~효제충신[孝悌忠信]~효증[殽脀] 1101
5274 효매[孝梅]~효맹[崤鄳]~효빈[效嚬]~효선경사편편복[孝先經笥便便腹] 109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