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근불가하[可近不可下]~가금[價金]~가급인족[家給人足]~가기[佳期]~가기[佳氣]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184  

가근불가하[可近不可下] 서경(書經) 오자지가(五子之歌)첫 번째, 황조(皇祖)께서 교훈을 남기시니 백성은 가까이할지언정 얕잡아보아선 안 되고,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견고하여야 나라가 튼튼하다.[其一曰 皇祖有訓 民可近 不可下 民惟邦本 本固邦寧]”라고 하였다.

가금[呵禁] 꾸짖어서 금지함이다.

가금[價金] 사고 팔 때에 주고받는 돈으로, 가문(價文), 가액(價額)이라고도 한다.

가급인족[家給人足] 집집마다 살림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의식(衣食)이 풍족하여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백성들이 풍요롭게 생활함을 이른다. 인족가급(人足家給).

가기[佳氣] 서기(瑞氣), 상서로운 기운을 이른다.

가기[佳期] 아름다운 기일. 서로 만나 즐거움을 나누자고 미인과 약속한 말을 말한다. 또는 칠월칠석날을 가리킨다. 이날에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만난다고 한다.

가기[佳氣] 왕조(王朝)의 상서로운 기운을 지칭한다. 왕안석(王安石)의 남향자(南鄕子)예로부터 제왕의 수도엔 성대한 가기가 가득하였네.[自古帝王州 鬱鬱蔥蔥佳氣浮]”라고 하였다. <臨川文集 卷37> 이후 대궐을 상징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다.

가기[佳氣] 임금의 덕을 상징하는데,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가향(家鄕)인 남양(南陽) 용릉(舂陵)의 지형을 술사(術士)인 소백아(蘇伯阿)가 살펴보고는 상서로운 기운이 왕성하게 일어난다.[佳氣哉 鬱鬱葱葱然]”라고 말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後漢書 卷1 廣武帝紀>

가기[佳氣] 제왕(帝王)의 기운을 말한다. 후한 광무제(光武帝)의 고향은 남양(南陽)이다. 망기자(望氣者)인 소백아(蘇伯阿)가 왕망(王莽)의 사신이 되어 남양에 이르렀다가, 산천의 기운을 바라보고 찬탄하며 말하기를 기운이 아름답구나, 울창하고 푸르도다.[氣佳哉! 鬱鬱蔥蔥然.]” 하였다. <後漢書 卷1 光武帝紀>

가기[佳器] 훌륭한 그릇, 훌륭한 인물을 이른다.

 

 



번호 제     목 조회
149 화표주[華表柱]~화표천년학[華表千年鶴]~화표학[華表鶴]~화풍난양[和風暖陽] 1189
148 해수[亥首]~해수[薤水]~해수불파[海水不波]~해시[海市]~해시지와[亥豕之訛] 1188
147 가사마[家司馬]~가사유지[可使由之]~가사임장[家事任長]~가사협[賈思勰]~가삭[家削] 1186
146 가근불가하[可近不可下]~가금[價金]~가급인족[家給人足]~가기[佳期]~가기[佳氣] 1185
145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1180
144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1174
143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1170
142 혜위모[蕙爲茅]~혜자[惠子]~혜장[蕙帳]~혜전탈우[蹊田奪牛]~혜주반[惠州飯] 1170
141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1170
140 한산[寒山]~한산편석[韓山片石]~한상[韓湘]~한생탈득동귀지[韓生奪得東歸志] 1168
139 한비세난[韓非說難]~한빙지옥[寒氷地獄]~한빙처[韓凭妻] 1165
138 해오[蟹螯]~해옥신주[海屋新籌]~해옥첨주[海屋添籌]~해온풍[解慍風] 1161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