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납[嘉納]~가납[加納]~가낭선[賈浪仙]~가낭중[賈郞中]~가녀[歌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140  

가납[嘉納] 남의 말을 쾌히 받아들임을 말한다.

가납[加納] 조세나 공물(貢物), 환곡(還穀) 등을 정해진 수량보다 더 바치는 것을 말한다.

가낭선[賈浪仙] 당대(唐代)의 시인 가도(賈島)를 가리키는데 낭선(浪仙)은 그의 자이다. 처음에 중이 되어 호를 무본(無本)이라고 하였다. 뒤에 환속해서 진사가 되어 장강주부(長江主簿)를 지내기도 하였지만 일생을 가난하게 살았다. 퇴고(推敲)라는 말의 유래가 된 유명한 일화의 주인공이기도 한데 맹교(孟郊)와 더불어 교한도수(郊寒島瘦)라 일컬어진다.

가낭중[賈郞中] 이름은 유약(維鑰)이고, 자는 무경(無扃), 호는 지백(知白)이며, 명나라 직례성(直隷省) 순천부(順天府) 준화현(遵化縣) 사람이다. 흠차사험군공 병부무선청 이사주사(欽差査驗軍功兵部武選淸吏司主事)1593(선조26) 3월에 우리나라에 와 의주(義州)에서 군공을 조사하고 안주(安州)에서 군대를 위로한 뒤 바로 돌아갔다. 15994월에 원임 낭중(原任郞中)으로 경리(經理) 만세덕(萬世德)을 보좌하여 재차 왔다가 16007월에 돌아갔다.

가녀[歌女] 가녀는 지렁이의 별칭이다. 고금주(古今注) 어충(魚蟲)지렁이는 땅속에서 울음을 길게 잘 울므로, 강동(江東)에서는 가녀(歌女)라고 한다.”고 하였다. 맹자(孟子) 등문공 하(滕文公下)지렁이는 위로 마른 흙덩이를 먹고 아래로 황천을 마신다.[夫蚓 上食槁壤 下飮黃泉]”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877
5344 가가[架架]~가가[哥哥]~가가대소[呵呵大笑]~가가문전[家家門前] 1024
5343 황삼[黃衫]~황상곤도[黃裳坤道]~황상길[黃裳吉]~황석공비결[黃石公祕訣] 1060
5342 가과[嘉瓜]~가관[葭琯]~가관[歌管]~가관[加官]~가관[假館] 1061
5341 황지서[黃支犀]~황지제명[黃紙題名]~황진도원[黃眞桃源]~황창랑[黃昌郞] 1068
5340 황초체[黃初體]~황총상미[黃摠上眉]~황총요성[荒塚遼城]~황침[黃綅] 1068
5339 황제[黃虀]~황제[黃帝]~황제승천[黃帝升天]~황조[黃鳥] 1069
5338 가관동[葭管動]~가관례[假館禮]~가관비회[葭管飛灰]~가관회미양[葭琯廻微陽] 1070
5337 황성[皇宬]~황소[黃蘇]~황수[黃綬]~황순우잠[黃純于潛]~황씨[慌氏] 1073
5336 황주고각[黃州鼓角]~황주피[黃紬被]~황죽가[黃竹歌]~황중정색[黃中正色] 1091
5335 횡삼[橫參]~횡진작랍[橫陳嚼蠟]~횡해린[橫海鱗]~횡행백마[橫行白馬] 1093
5334 가경[家經]~가경[家慶]~가경리[嘉慶李]~가계[假繼]~가계[假髻]~가계[家雞] 110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