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도고문[賈島敲門]~가도려과[賈島驢跨]~가도멸괵[假道滅虢]~가도벽립[家徒壁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17  

가도고문[賈島敲門] 가도는 중당(中唐)의 시인으로 승려가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했는데, 그가 하루는 나귀를 타고 도성(都城) 거리를 나갔다가,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이라는 시구를 짓고는 혼자 손짓을 하면서 퇴() 자를 쓸까, () 자를 쓸까 하고 수없이 고심하다가, 마침 당시 경조윤(京兆尹)이던 한유(韓愈)의 행차를 만나서 한유에게 그 사실을 갖추 말하자, 한유가 그에게 고() 자가 더 좋다고 말해 주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가도의 문을 두드린다는 것은 곧 시를 짓는 데 있어 제자리에 꼭 알맞은 글자를 놓으려고 고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도려과[賈島驢跨] 가도는 당() 나라 때의 시인(詩人)이다.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다. 그는 한창 시상(詩想)에 잠겼을 적에는 아무리 공경(公卿) 같은 귀인을 만나도 알지 못하고 지나치고는 하였는데, 하루는 경조윤(京兆尹)을 길에서 만났는데도 나귀에 탄 채 피하지 않았다가 책망을 듣고 한참 만에야 풀려나기도 하였다. <新唐書 卷一百七六 賈島傳>

가도멸괵[假途滅虢] ()는 빌린다는 뜻이다. ()는 길이다. ()은 망한다는 뜻이다. ()은 나라 이름이다. ()나라 헌공(獻公)이 괵()나라를 치려하였는데 길이 우()나라를 지나게 되었다. 모신(謀臣) 순식(荀息)의 계책을 써서 수극(垂棘)에서 생산된 구슬과 굴()에서 생산된 말을 우()나라 임금에게 보내어 길을 빌려서 괵나라를 멸망시켰다. 군대가 돌아오다가 우나라를 아울러 습격하여 멸망시켰다.

가도멸괵[假道滅虢] 서로 이해관계가 밀접해 한 쪽이 망하면 다른 한 쪽도 화를 면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이다. 또는 서로 도우며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서로 도움으로써 성립되는 관계를 비유하기도 한다. 춘추 시대 때 진() 나라의 순식(荀息)이 진 나라의 굴() 땅에서 나는 말 네 마리를 우() 나라에 주고 괵() 나라를 치러 가는 길을 빌려 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우공이 말을 탐내어 길을 빌려 주고서 진 나라의 선봉이 되어 괵 나라를 쳤는데, 괵 나라가 함락된 뒤에 우 나라도 진 나라에 의해 멸망되었다. <春秋左傳 僖公 2>

가도벽립[家徒壁立] 집안에 세간이라고는 하나도 없고 다만 사면에 벽만이 둘려 있을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함을 비유한 말이다.

가도불[賈島佛] 가도(賈島)는 당() 나라 시인으로, ()는 낭선(浪仙), 호는 갈석산인(碣石山人), 승려가 되어 이름을 무본(無本)이라 하였다. () 나라 이동(李洞)이 가도의 시()를 사모하여 그 상()을 주조(鑄造)해 모시고 늘 가도불(賈島佛)이라고 염송했다는 고사가 있다. <唐書 卷176> <齊東野語 16 賈島佛>

가도사벽[家徒四壁]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살림이라고는 네 벽밖에 없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이다.

가도삭의[家道索矣] 집안의 도리가 무너짐. ()은 무너진다는 뜻. 원래 서경(書經목서(牧誓)에 나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 화옥산구[華屋山丘]~화완포[火浣布]~화왕[花王]~화요입벽도[花妖入壁逃] 1247
52 함구묘중인[緘口廟中人]~함궐[銜橛]~함금[緘金]~함노안[銜蘆雁] 1246
51 홍라기성[紅羅記姓]~홍려시[鴻臚寺]~홍련막[紅蓮幕] 1245
50 홍이포[紅夷砲]~홍익인간[弘益人間]~홍일점[紅一點]~홍자[紅紫] 1241
49 가란[柯爛]~가람[岢嵐]~가람[伽藍]~가랑선[賈浪仙]~가래모[歌來暮] 1240
48 홍수[紅袖]~홍시[鴻視]~홍아[紅牙]~홍안선왕[鴻鴈宣王] 1235
47 홍점[鴻漸]~홍점반[鴻漸磐]~홍정[紅丁]~홍정[紅亭]~홍준저[鴻遵渚] 1230
46 가각고[架閣庫]~가거[家居]~가거식육[駕車食肉]~가거정묘[家居丁卯] 1228
45 황막[荒幕]~황매선사[黃梅禪師]~황매우[黃梅雨]~황면[黃面]~황명[蝗螟] 1220
44 황복[荒服]~황봉주[黃封酒]~황분[皇墳]~황비자달[黃扉紫闥]~황비피현[黃扉避賢] 1218
43 환한[渙汗]~환해[宦海]~환호도강[懽虎渡江]~환혼[還魂]~환환[渙渙] 1213
42 가교[駕轎]~가구[可口]~가구[家丘]~가구가대[可久可大]~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1213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