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동[賈董]~가동가서[可東可西]~가동시졸[街童市卒]~가동주졸[街童走卒]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97  

가동[賈董] 가동은 한대(漢代)의 대유(大儒)이며 문장가였던 가의(賈誼)와 동중서(董仲舒)를 합칭한 말인데, 가의는 문제(文帝) 때에 시국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올렸던바, 명문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졌고, 동중서는 무제(武帝) 때에 현량대책(賢良對策)에서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설()을 요지로 삼아 대책을 세 번 올렸던바, 그 또한 모두 명문으로 일컬어진다. 동중서가 세 번 올린 대책은 천인삼책(天人三策)이라 칭하기도 한다.

가동[家僮] 집안의 노복이나 비첩, 집안에서 심부름하는 아이를 이른다.

가동가서[可東可西] 동쪽이라도 좋고 서쪽이라도 좋다. 이러나저러나 상관없다.

가동개죽비[家童開竹扉] 백거이(白居易)의 귀이도댁(歸履道宅) 시에 역리는 내 등나무 가마를 끌어 오고, 가동은 대사립을 열고 맞이하네.[驛吏引藤轝 家童開竹扉]”라고 하였다.

가동시졸[街童市卒] 시졸(市卒)은 원래 시문(市門)의 문지기를 가리키는 말이나, 여기서는 식견이 가장 부족한 사람을 뜻하는 아동주졸(兒童走卒), 가동주졸(街童走卒)이란 성어와 같은 뜻으로 쓴 것이다.

가동조유[賈董曹劉] 가의(賈誼), 동중서(董仲舒), 조식(曹植), 유정(劉楨)을 가리킨다.

가동주졸[街童走卒] 길거리에서 노는 철부지 아이들이라는 뜻으로 줏대 없이 떠돌아다니는 졸장부(拙丈夫)를 이르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97 화옥산구[華屋山丘]~화완포[火浣布]~화왕[花王]~화요입벽도[花妖入壁逃] 1254
5296 홍보[鴻寶]~홍부[紅腐]~홍불자[洪佛子]~홍비명명[鴻飛冥冥]~홍비준저[鴻飛遵渚] 1257
5295 호손입낭[胡孫入囊]~호수[狐首]~호수[湖叟]~호수매치[胡首埋置] 1262
5294 황유[黃楡]~황의[黃衣]~황유백초[黃楡白草]~황이[黃耳]~황이균[黃耳菌] 1262
5293 호조비화[好鳥飛花]~호주두목[湖州杜牧]~호중구화운[壺中九華韻] 1265
5292 가선긍불능[嘉善矜不能]~가선령[嘉善令]~가선리[駕仙鯉]~가설[假設] 1265
5291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1271
5290 혹세무민[惑世誣民]~혹약[或躍]~혹자의봉사[或自疑封事]~혹혹[掝掝] 1276
5289 홀현홀몰[忽縣忽沒]~홀홀[忽忽]~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홍거절[鴻擧絶] 1276
5288 황권[黃卷]~황극[皇極]~황금대[黃金臺]~황금압[黃金鴨]~황기[黃綺] 1284
5287 가계야목[家鷄野鶩]~가계야치[家鷄野雉]~가고[笳鼓]~ 1285
5286 홍연[弘演]~홍연대소[哄然大笑]~홍엽제시[紅葉題詩]~홍우점[鴻羽漸] 129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