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동[賈董]~가동가서[可東可西]~가동시졸[街童市卒]~가동주졸[街童走卒]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93  

가동[賈董] 가동은 한대(漢代)의 대유(大儒)이며 문장가였던 가의(賈誼)와 동중서(董仲舒)를 합칭한 말인데, 가의는 문제(文帝) 때에 시국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올렸던바, 명문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졌고, 동중서는 무제(武帝) 때에 현량대책(賢良對策)에서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설()을 요지로 삼아 대책을 세 번 올렸던바, 그 또한 모두 명문으로 일컬어진다. 동중서가 세 번 올린 대책은 천인삼책(天人三策)이라 칭하기도 한다.

가동[家僮] 집안의 노복이나 비첩, 집안에서 심부름하는 아이를 이른다.

가동가서[可東可西] 동쪽이라도 좋고 서쪽이라도 좋다. 이러나저러나 상관없다.

가동개죽비[家童開竹扉] 백거이(白居易)의 귀이도댁(歸履道宅) 시에 역리는 내 등나무 가마를 끌어 오고, 가동은 대사립을 열고 맞이하네.[驛吏引藤轝 家童開竹扉]”라고 하였다.

가동시졸[街童市卒] 시졸(市卒)은 원래 시문(市門)의 문지기를 가리키는 말이나, 여기서는 식견이 가장 부족한 사람을 뜻하는 아동주졸(兒童走卒), 가동주졸(街童走卒)이란 성어와 같은 뜻으로 쓴 것이다.

가동조유[賈董曹劉] 가의(賈誼), 동중서(董仲舒), 조식(曹植), 유정(劉楨)을 가리킨다.

가동주졸[街童走卒] 길거리에서 노는 철부지 아이들이라는 뜻으로 줏대 없이 떠돌아다니는 졸장부(拙丈夫)를 이르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249 호구[狐丘]~호구[虎丘]~호구지계[狐丘之戒]~호구지책[糊口之策]~호군[護軍] 1380
5248 호로[葫蘆]~호룡도[虎龍韜]~호리[蒿里]~호리[毫釐]~호리건곤[壺裏乾坤] 1381
5247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382
5246 가성[佳城]~가성[家聲]~가성견일[佳城見日] 1383
5245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1384
5244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1384
5243 해수[亥首]~해수[薤水]~해수불파[海水不波]~해시[海市]~해시지와[亥豕之訛] 1397
5242 홍노[洪爐]~홍농도하[弘農渡河]~홍니[紅泥]~홍니[鴻泥]~홍도설니[鴻蹈雪泥] 1398
5241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1399
5240 해구맹[海鷗盟]~해궁[海宮]~해기[駭機]~해기[薤鄿] 1401
5239 한산[寒山]~한산편석[韓山片石]~한상[韓湘]~한생탈득동귀지[韓生奪得東歸志] 1405
5238 호상락[濠上樂]~호섭수 유기미[狐涉水 濡其尾]~호생[好生]~호성[鄗城] 140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