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릉[嘉陵]~가릉[歌菱]~가릉강[嘉陵江]~가릉빈가[迦陵頻伽]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28  

가릉[嘉陵] 경기도 가평을 가리킨다.

가릉[歌菱] 마름을 따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남조(南朝) 포조(鮑照)의 채릉가(採菱歌)맑은 한수 남쪽에서 능가를 부른다.[菱歌淸漢南]”라고 하였다.

가릉[迦陵] 불교의 전설 속에 나오는 좋은 소리를 내는 새의 이름으로, 범어(梵語) kalavinka의 음역(音譯)이다. 정법염처경(正法念處經) 관천품(觀天品)가릉빈가(迦陵頻伽)는 그 소리가 아름답고 묘하여 파구조(婆求鳥)의 소리와 같아 대중들이 듣고는 좋아하는데, 허공중으로 날아올라 스스로 즐긴다.”라고 하였다. 부처의 교리를 전파하는 승()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가릉강[嘉陵江] 개원(開元)은 당나라 현종(玄宗) 전반기의 연호이다. 현종이 어느 날 갑자기 촉도(蜀道)의 가릉강(嘉陵江) 산수가 몹시 생각나서 당시 이름난 화가였던 오도현(吳道玄)에게 명하여 즉시 달려가서 가릉강의 산수를 그려 오게 했다. 오도현이 다녀와서 아뢰기를 신은 그림을 그려 오지는 못했고, 모든 경치를 마음속에 기억해 왔습니다.”라고 하므로, 그를 대동전(大同殿)으로 보내어 그리게 한 결과, 가릉강 3백여 리의 산수를 하루에 다 그려 냈다고 한다. <山堂肆考 卷166>

가릉군[嘉陵郡] 지금 가평군의 조선 시대 이름이다.

가릉빈가[迦陵頻伽] 불경(佛經)에 나오는 상상(想像)의 새이다. 히말라야 산에 사는 데 소리가 곱기로 유명(有名)하다. 또 극락(極樂) 정토에 깃들며,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 모양을 하고 있다 한다. 옛날에 동양(東洋)에서 이 새를 천사가 날아가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그린 것은 그 소리가 고운 것을 이상화(理想化)하여 모양의 아름다움으로 형태화(形態化)한 것이다. 인도(印度)에서 나는 소리가 곱고 깃이 아름다운 불불(bulbul)’새를 이르기도 한다.

가릉빈가[迦陵頻伽] 불교에서 나오는 극락정토에 있다고 일컬어지는 상상의 새로서 머리는 미녀의 얼굴 모습에 목소리는 들어서 싫증나지 않는 아름다운 목청을 가지고 있으며 용의 꼬리가 달린 극락정토에 산다는 새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 가선긍불능[嘉善矜不能]~가선령[嘉善令]~가선리[駕仙鯉]~가설[假設] 1275
52 호조비화[好鳥飛花]~호주두목[湖州杜牧]~호중구화운[壺中九華韻] 1274
51 호손입낭[胡孫入囊]~호수[狐首]~호수[湖叟]~호수매치[胡首埋置] 1269
50 홍보[鴻寶]~홍부[紅腐]~홍불자[洪佛子]~홍비명명[鴻飛冥冥]~홍비준저[鴻飛遵渚] 1267
49 화옥산구[華屋山丘]~화완포[火浣布]~화왕[花王]~화요입벽도[花妖入壁逃] 1266
48 함구묘중인[緘口廟中人]~함궐[銜橛]~함금[緘金]~함노안[銜蘆雁] 1263
47 홍라기성[紅羅記姓]~홍려시[鴻臚寺]~홍련막[紅蓮幕] 1257
46 홍이포[紅夷砲]~홍익인간[弘益人間]~홍일점[紅一點]~홍자[紅紫] 1254
45 홍수[紅袖]~홍시[鴻視]~홍아[紅牙]~홍안선왕[鴻鴈宣王] 1252
44 가란[柯爛]~가람[岢嵐]~가람[伽藍]~가랑선[賈浪仙]~가래모[歌來暮] 1251
43 효표론[孝標論]~효회호음[鴞懷好音]~효효[囂囂]~효휴애일[孝虧愛日] 1250
42 홍점[鴻漸]~홍점반[鴻漸磐]~홍정[紅丁]~홍정[紅亭]~홍준저[鴻遵渚] 1244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