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954  

가무[歌舞] 노래 부르고 춤을 추는 것이다.

가무경[歌無競] 가무경은 시경(詩經) 집경(執競)에서 중국 주()나라 무왕(武王)의 공을 칭송하면서 강력하신 무왕이여. 비할 데 없는 공렬이시도다. 드러나지 않을까, 성왕·강왕이여. 상제가 인군으로 삼으셨도다.[執競武王, 無競維烈. 不顯成康, 上帝是皇.]”라고 한 데서 나온 표현이다.

가무담석[家無擔石] ()은 한 항아리, ()은 두 항아리라는 뜻으로 집에 모아 놓은 재산이 조금도 없음을 말한다.

가무음곡[歌舞音曲] 노래와 춤과 음악(音樂)을 이른다.

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 낙빈왕(駱賓王)이 군중(軍中)에서 성루(城樓)에 올라 지은 <재군등성루(在軍登城樓)> 시이다. 전당시(全唐詩) 79성 위엔 바람의 위세가 싸늘하고, 강 속엔 물 기운이 차가워라. 이 전란을 어느 날에 평정하고서, 노래하고 춤추며 장안에 들어갈까.[城上風威冷 江中水氣寒 戎衣何日定 歌舞入長安]”라고 실려 있다.

가문[嘉聞] 좋은 평판을 이른다.

가미[價米] 물품이나 용역(用役) 등의 대가(代價)로 주는 미곡(米穀)을 이른다.

가민[可悶] 고민스럽다. 염려스럽다.

가밀[賈謐] 가후(賈后)의 여동생인 가오(賈午)가 한수(韓壽)에게 시집가서 밀()을 낳았는데, 가충(賈充)이 후사가 없으므로 한밀(韓謐)을 후사로 삼았다.

 

 



번호 제     목 조회
41 황화집[皇華集]~황화취죽본비진[黃花翠竹本非眞]~황황중니[遑遑仲尼] 926
40 획어가[畫魚歌]~획연[謋然]~획일[畫一]~획지성하[畫地成河]~획지위뢰[劃地爲牢] 919
39 혹세무민[惑世誣民]~혹약[或躍]~혹자의봉사[或自疑封事]~혹혹[掝掝] 918
38 황아[黃芽]~황양[黃壤]~황양액윤년[黃楊厄閏年]~황어[黃魚]~황예[荒穢] 917
37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917
36 황자[皇子]~황자파[皇子陂]~황작풍[黃雀風]~황장사우게[黃腸思苃憩] 914
35 황옥거[黃屋車]~황우[黃虞]~황우지혁[黃牛之革]~황우패[黃牛佩] 913
34 가기이대[可跂而待]~가기이방[可欺以方]~가기충려[佳氣充閭]~가남풍[賈南風] 913
33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913
32 황종[黃鐘]~황종률[黃鍾律]~황종재동[黃鐘纔動]~황종해우이[黃鍾駭牛耳] 909
31 가도어인[假道於仁]~가도우거[假道于莒]~가도정의[家道正矣]~가도한위[假道韓魏] 905
30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901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