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변[加籩]~가병[佳兵]~가보보지[可輔輔之]~가보어산경[假步於山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50  

가변[加籩] 종묘의 제사에서 구헌(九獻)을 올린 뒤에 술을 더 올리는데, 이때에 변()과 두()에 음식을 더 담아 올리는 것을 가변(加籩)’가두(加豆)’라고 한다. 변에는 마름 열매[], 가시연밥[], , 포를 각각 두 개의 변에 담아 모두 8개 변을 올린다. <周禮 天官冢宰 籩人, 醢人> <周禮訂義 卷37>

가병[佳兵] 군대를 일으켜 싸우기를 좋아하는 것을 말한다. 노자(老子) 31()잘 만든 무기는 불길한 연모이다.[夫佳兵者 不祥之器]”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가보[假步] 거짓 발걸음. 남조(南朝)의 문인(文人) 주옹(周顒)이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조정의 부름을 받고 변절하여 해염현령(海鹽縣令)이 되었다. 그 후 임기를 마치고 조정으로 돌아가는 길에 다시 그 종산을 들르려고 하자, 이때 종산에 은거하고 있던 공치규(孔稚珪)가 그의 변절을 배척하여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비록 마음은 조정에 두고 있으면서도 혹 거짓 발걸음을 산문에 들여 놓으리라.[雖情投於魏闕, 或假步於山扃.]” 한 데서 온 말이다.

가보보지 군가자취[可輔輔之 君可自取] 소열제(昭烈帝)가 병이 위독하자, 승상 제갈량(諸葛亮)에게 명하여 태자(太子)를 보필하게 하고 이르기를 만일 태자가 보필할 만하거든 그를 보필하고, 만일 재주가 없거든 그대가 스스로 황제의 자리를 취하라.”고 한 말에서 유래하였다.

가보어산경[假步於山扃] 남제(南齊)의 주옹(周顒)이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조정의 부름을 받고 변절하여 해염영(海鹽令)에 취임해서 임기를 마치고는 드디어 경사(京師)로 가는 도중에 다시 북산에 들르려고 하자, 공치규(孔稚珪)가 그의 변절을 배척하여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종산의 영령과 초당의 신령이 역로에 연기를 달리게 하여 산정에 이문을 새기게 하였다.……푸른 산봉우리로 하여금 재차 모욕을 받게 하고, 붉은 절벽으로 하여금 때를 거듭 입게 한다.[鍾山之英 草堂之靈 馳煙驛路 勒移山庭……碧嶺再辱 丹崖重滓]”라고 하고, 비록 마음은 조정에 두고 있으면서도 혹 거짓 발걸음을 산문에 들여 놓으리라.[雖情投於魏闕 或假步於山扃]”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종산은 남경(南京) 동쪽에 있는 북산(北山)을 달리 이른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21 황자[皇子]~황자파[皇子陂]~황작풍[黃雀風]~황장사우게[黃腸思苃憩] 1160
5320 가군[家君]~가권이회[可卷而懷]~가규[賈逵] 1162
5319 황옥거[黃屋車]~황우[黃虞]~황우지혁[黃牛之革]~황우패[黃牛佩] 1163
5318 황종[黃鐘]~황종률[黃鍾律]~황종재동[黃鐘纔動]~황종해우이[黃鍾駭牛耳] 1167
5317 획어가[畫魚歌]~획연[謋然]~획일[畫一]~획지성하[畫地成河]~획지위뢰[劃地爲牢] 1178
5316 가기이대[可跂而待]~가기이방[可欺以方]~가기충려[佳氣充閭]~가남풍[賈南風] 1179
5315 가상[可尙]~가상원령[假湘源令]~가색[稼穡]~가생[賈生] 1182
5314 홍운[紅雲]~홍운전[紅雲殿]~홍유보불[弘儒黼黻]~홍유효법곤[鴻猷效法坤] 1211
5313 황하소식[黃河消息]~황하재보[黃河再報]~황학루[黃鶴樓]~황학유선[黃鶴遊仙] 1215
5312 황곡[黃鵠]~황공로[黃公壚]~황공비략[黃公祕略]~황공주로[黃公酒壚] 1216
5311 혼탈무[渾脫舞]~혼혼[渾渾]~혼혼[惛惛]~홀만상[笏滿牀] 1219
5310 황계[璜溪]~황계[荒鷄]~황계[黃鷄]~황고산[黃孤山]~황고집[黃固執] 1219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