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변[加籩]~가병[佳兵]~가보보지[可輔輔之]~가보어산경[假步於山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70  

가변[加籩] 종묘의 제사에서 구헌(九獻)을 올린 뒤에 술을 더 올리는데, 이때에 변()과 두()에 음식을 더 담아 올리는 것을 가변(加籩)’가두(加豆)’라고 한다. 변에는 마름 열매[], 가시연밥[], , 포를 각각 두 개의 변에 담아 모두 8개 변을 올린다. <周禮 天官冢宰 籩人, 醢人> <周禮訂義 卷37>

가병[佳兵] 군대를 일으켜 싸우기를 좋아하는 것을 말한다. 노자(老子) 31()잘 만든 무기는 불길한 연모이다.[夫佳兵者 不祥之器]”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가보[假步] 거짓 발걸음. 남조(南朝)의 문인(文人) 주옹(周顒)이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조정의 부름을 받고 변절하여 해염현령(海鹽縣令)이 되었다. 그 후 임기를 마치고 조정으로 돌아가는 길에 다시 그 종산을 들르려고 하자, 이때 종산에 은거하고 있던 공치규(孔稚珪)가 그의 변절을 배척하여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비록 마음은 조정에 두고 있으면서도 혹 거짓 발걸음을 산문에 들여 놓으리라.[雖情投於魏闕, 或假步於山扃.]” 한 데서 온 말이다.

가보보지 군가자취[可輔輔之 君可自取] 소열제(昭烈帝)가 병이 위독하자, 승상 제갈량(諸葛亮)에게 명하여 태자(太子)를 보필하게 하고 이르기를 만일 태자가 보필할 만하거든 그를 보필하고, 만일 재주가 없거든 그대가 스스로 황제의 자리를 취하라.”고 한 말에서 유래하였다.

가보어산경[假步於山扃] 남제(南齊)의 주옹(周顒)이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조정의 부름을 받고 변절하여 해염영(海鹽令)에 취임해서 임기를 마치고는 드디어 경사(京師)로 가는 도중에 다시 북산에 들르려고 하자, 공치규(孔稚珪)가 그의 변절을 배척하여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종산의 영령과 초당의 신령이 역로에 연기를 달리게 하여 산정에 이문을 새기게 하였다.……푸른 산봉우리로 하여금 재차 모욕을 받게 하고, 붉은 절벽으로 하여금 때를 거듭 입게 한다.[鍾山之英 草堂之靈 馳煙驛路 勒移山庭……碧嶺再辱 丹崖重滓]”라고 하고, 비록 마음은 조정에 두고 있으면서도 혹 거짓 발걸음을 산문에 들여 놓으리라.[雖情投於魏闕 或假步於山扃]”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종산은 남경(南京) 동쪽에 있는 북산(北山)을 달리 이른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185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1596
184 황유[黃楡]~황의[黃衣]~황유백초[黃楡白草]~황이[黃耳]~황이균[黃耳菌] 1594
183 포식난의[飽食暖衣]~포신구화[抱薪救火]~포양[蒲楊] 1593
182 한아[寒鴉]~한안[汗顔]~한안국[韓安國]~한양애왕[韓襄哀王] 1591
181 파군오자[巴郡吳資]~파금은섬[破琴隱剡]~파랑회종각[破浪懷宗慤] 1589
180 가동필[呵凍筆]~가두[加豆]~가두[賈杜] 1584
179 함서[緘書]~함소[咸韶]~함소리[含消梨]~함우주주[銜羽周周] 1583
178 호계별[虎溪別]~호계삼소[虎溪三笑]~호계평류[瓠繫萍流]~호관친림[虎觀親臨] 1582
177 한자애련[韓子愛聯]~한장유[韓長孺]~한적[漢賊] 1578
176 해낭[奚囊]~해노습득[奚奴拾得]~해당부인[海棠夫人]~해당시[海棠詩]~해대[海岱] 1578
175 해제천규[海帝穿竅]~해조[海棗]~해조[解絛]~해조문[解嘲文]~해조음[海潮音] 1577
174 홍릉담[紅綾餤]~홍릉병[紅綾餠]~홍린약빙[紅鱗躍氷]~홍모척[鴻毛擲]~홍몽[鴻濛] 1577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