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봉지속[可封之俗]~가봉지주[歌鳳之儔]~가부[葭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88  

가봉지속[可封之俗] 가봉(可封)비옥가봉(比屋可封)’의 줄임말로 풍속이 아름다워 집집마다 봉()함을 받을 만큼 인물이 많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왕망전(王莽傳)에 이르기를 요순시대(·舜時代)에는 집집마다 다 봉()하여주어도 되었다.”라는 내용이 보이며, 논형(論衡) 솔성전(率性傳)에는 요순(堯舜)의 백성들은 집집마다 다 봉()하여도 되었고, 걸주(·)의 백성들은 집집마다 다 죽여도 되었다.”라고 보인다.

가봉지주[歌鳳之儔] 봉황 노래 부른 무리. 성인의 도가 행해지지 않는 것을 탄식하여 거짓으로 미친 척하여 세상을 피한 무리를 말한다. 춘추 시대 초나라의 은자인 접여(接輿)가 초나라로 가려고 하는 공자의 수레 앞을 지나면서 노래하기를 봉이여 봉이여, 어찌 그리도 덕이 쇠했는고.[鳳兮鳳兮 何德之衰]”라고 하였는데, 이는 공자를 봉새에 비유하여 태평 시대도 아닌데 숨지 않고 세상에 나온 것을 기롱한 말이다. <論語 微子>

가부[葭莩] 가부는 갈대 대롱 속에 붙은 엷은 막()을 가리킨 것으로, 전하여 가부의 친척이란 소원한 친척 또는 소원한 교의(交誼)의 뜻으로 자신을 낮추어 쓰는 말이다.

가부[葭莩] 가부는 친함이 박한 것을 비유한 것인데, 후세에는 척의(戚誼)가 있음을 표현하는 말로 쓰였다. 한서(漢書) 53 중산정왕전(中山靖王傳)가부(葭莩)는 친()이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그 주()()는 갈대요, ()는 갈대 대롱 속에 있는 지극히 엷은 흰 청이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01 포어불구조룡취[鮑魚不救祖龍臭]~포어석[鮑魚石]~포연[酺宴] 1486
5200 포옹장인[抱甕丈人]~포옹한음[抱甕漢陰]~포용도[包龍圖]~포육천교[飽肉天驕] 1487
5199 해상도[海上桃]~해상유의[海上留衣]~해서[楷書]~해성[諧聲] 1488
5198 화정[和靖]~화정사녹[和靖辭祿]~화정지학[華亭之鶴]~화정학려[華亭鶴唳] 1488
5197 가생가도[賈生賈島]~가생기복[賈生忌鵩]~가생비고[賈生非辜] 1488
5196 합좌[合坐]~합패여건도[合佩呂虔刀]~합포주[合浦珠]~합포환주[合浦還珠] 1490
5195 항왕목중동[項王目重瞳]~항요[恒曜]~항장검무[項莊劒舞]~항주소일[杭州消日] 1490
5194 팔대쇠[八代衰]~팔대수[八大藪]~팔두문장[八斗文章]~팔룡운전[八龍雲篆] 1492
5193 해의반박[解衣盤礡]~해자괴[諧者怪]~해장[海藏]~해정오두[解酲五斗]~해제참[解齊驂] 1492
5192 합합[溘溘]~합환전[合歡殿]~항갈[恒碣]~항남[巷南]~항룡유회[亢龍有悔] 1494
5191 호중세월[壺中歲月]~호중천지[壺中天地]~호중한[壺中閒] 1500
5190 가도[賈島]~가도[家道]~가도[可道]~가도[可度]~가도[家塗]~가도[椵島] 150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