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91  

가생수체[賈生垂涕] 가생(賈生)은 한 문제(漢文帝) 때의 문신 가의(賈誼)의 별칭이고, 눈물을 흘렸다는 것은 곧 그가 일찍이 시국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문제에게 올렸던바, 그 첫머리에 신은 그윽이 생각건대, 지금의 사세가 통곡할 만한 일이 한 가지요, 눈물을 흘릴 만한 일이 두 가지요, 길이 한숨을 쉴 만한 일이 여섯 가지입니다.[臣竊惟事勢 可爲痛哭者一 可爲流涕者二 可爲長太息者六]”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48 賈誼傳>

가생작부강관비[賈生作賦强寬譬] 가생은 전한(前漢)의 가의(賈誼)를 말하는데, 그가 장사왕 부(長沙王傅)로 좌천되었을 때, 불길한 새로서 올빼미 같이 생긴 복조(鵩鳥)가 자신의 방에 날아 들어와 앉자, 그는 이를 불길한 징조라 하여 자신이 곧 죽을 것으로 여기고, 이에 복조부(鵩鳥賦)를 지어서 자신을 위로했던 것을 말한다. <漢書 卷四十八>

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 가생은 한() 나라 때의 가의(賈誼)를 말하고, 장태식은 소리를 길게 내는 한숨을 이른 것으로, 가의가 일찍이 한 문제(漢文帝)에게 올린 글에서 국가의 사세(事勢)를 들어 통곡(痛哭)할 만한 것이 한 가지요, 유체(流涕)할 말한 것이 두 가지요, 장태식할 만한 것이 여섯 가지입니다 …… .”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48>

가생지초[賈生之楚] () 나라 가의(賈誼)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되어 남초(南楚)에 갔다.

가생지통[賈生之痛] 한 문제(漢文帝) 때 장사왕 태부(長沙王太傅) 가의(賈誼)가 흉노의 변경 침입 및 제후의 발호로 인한 국가의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상소를 올려 시무책(時務策)을 건의하였다. 그 상소에서 가의는 시사의 문제점을 통곡할 만한 일 하나, 눈물 흘릴 만한 일 둘, 길이 탄식할 만한 일 여섯으로 나누어 지적하였다. <漢書 卷48 賈誼傳>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843
5344 가가[架架]~가가[哥哥]~가가대소[呵呵大笑]~가가문전[家家門前] 1007
5343 가경[家經]~가경[家慶]~가경리[嘉慶李]~가계[假繼]~가계[假髻]~가계[家雞] 1044
5342 황삼[黃衫]~황상곤도[黃裳坤道]~황상길[黃裳吉]~황석공비결[黃石公祕訣] 1047
5341 황지서[黃支犀]~황지제명[黃紙題名]~황진도원[黃眞桃源]~황창랑[黃昌郞] 1048
5340 가과[嘉瓜]~가관[葭琯]~가관[歌管]~가관[加官]~가관[假館] 1048
5339 황제[黃虀]~황제[黃帝]~황제승천[黃帝升天]~황조[黃鳥] 1049
5338 황성[皇宬]~황소[黃蘇]~황수[黃綬]~황순우잠[黃純于潛]~황씨[慌氏] 1051
5337 황초체[黃初體]~황총상미[黃摠上眉]~황총요성[荒塚遼城]~황침[黃綅] 1052
5336 가관동[葭管動]~가관례[假館禮]~가관비회[葭管飛灰]~가관회미양[葭琯廻微陽] 1053
5335 효매[孝梅]~효맹[崤鄳]~효빈[效嚬]~효선경사편편복[孝先經笥便便腹] 1067
5334 황주고각[黃州鼓角]~황주피[黃紬被]~황죽가[黃竹歌]~황중정색[黃中正色] 107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