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섭미소[伽葉微笑]~가섭염화[迦葉拈花]~가섭진종[迦葉眞宗]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998  

가섭대[迦葉臺] 지리산 천왕봉에서 조금 내려와 서쪽으로 가면 향적사(香積寺)가 있고, 또 서쪽으로 50리쯤 가면 가섭대가 있다.

가섭미소[伽葉微笑] 석가모니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연꽃을 들어 대중에게 보였을 때, 모두 침묵을 지키는 가운데 오직 가섭만이 미소를 짓자, 석가가 나의 정법안장(正法眼藏열반묘심(涅槃妙心실상무상(實相無相미묘법문(微妙法門불립문자(不立文字교외별전(敎外別傳)을 마하가섭(摩訶迦葉)에게 부촉하노라.”라고 했다는 고사가 있는데, 언어와 문자를 떠나서 깨달은 사람들끼리 이심전심(以心傳心)하는 선종(禪宗) 최고의 경지를 뜻한다. <聯燈會要 卷1> <景德傳燈錄 卷1 摩訶迦葉付法條>

가섭씨[迦葉氏] 석가의 수제자인 마하가섭(摩訶迦葉)을 가리킨다. 흔히 가섭 존자(迦葉尊者)로 일컬어진다.

가섭염화[迦葉拈花] 가섭은 마하가섭(摩訶迦葉)이라고도 하는데 석가의 대제자(大弟子)이다. 전등록(傳燈錄)세존(世尊)이 영산(靈山)의 모임에서 꽃을 뽑아 뭇 사람에게 보이니 이때 모두 묵연하였는데 유독 가섭존자(迦葉尊者)가 파안미소(破顔微笑)했다.”라고 하였다.

가섭진종[迦葉眞宗] 가섭의 진종은 불교의 선종(禪宗)을 가리킨다. 가섭은 석가모니의 수제자인 마하가섭(摩訶迦葉)의 준말로, 불타로부터 첫 번째로 법을 전수받아 선종의 이른바 서토(西土) 28() 중 제1조로 꼽히는 인물이다. 석가모니가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염화시중(拈花示衆)했을 때에, 대중이 모두 침묵을 지키는 가운데 가섭만이 파안미소(破顔微笑)를 짓자, 석가가 나에게 있는 정법안장(正法眼藏열반묘심(涅槃妙心실상무상(實相無相미묘법문(微妙法門불립문자(不立文字교외별전(敎外別傳)을 마하가섭에게 부촉하노라.”라고 했다는 말이, 육조대사(六祖大師)의 법보단경(法寶壇經) 서문과 오등회원(五燈會元) 1 등에 나온다.

 

 



번호 제     목 조회
5297 가반[加頒]~가배지법[加倍之法]~가배회소곡[嘉俳會蘇曲]~가벌[家閥]~가벽[加璧] 964
5296 황복[荒服]~황봉주[黃封酒]~황분[皇墳]~황비자달[黃扉紫闥]~황비피현[黃扉避賢] 965
5295 획획[㦎㦎]~횡거[橫渠]~횡경표맥[橫經漂麥]~횡금[橫金]~횡당[橫塘] 967
5294 환한[渙汗]~환해[宦海]~환호도강[懽虎渡江]~환혼[還魂]~환환[渙渙] 969
5293 홍라기성[紅羅記姓]~홍려시[鴻臚寺]~홍련막[紅蓮幕] 971
5292 가생수체[賈生垂涕]~가생장태식[賈生長太息]~가생지통[賈生之痛] 971
5291 황하소식[黃河消息]~황하재보[黃河再報]~황학루[黃鶴樓]~황학유선[黃鶴遊仙] 973
5290 호손입낭[胡孫入囊]~호수[狐首]~호수[湖叟]~호수매치[胡首埋置] 979
5289 황계[璜溪]~황계[荒鷄]~황계[黃鷄]~황고산[黃孤山]~황고집[黃固執] 979
5288 효표론[孝標論]~효회호음[鴞懷好音]~효효[囂囂]~효휴애일[孝虧愛日] 979
5287 가각고[架閣庫]~가거[家居]~가거식육[駕車食肉]~가거정묘[家居丁卯] 981
5286 가도고문[賈島敲門]~가도려과[賈島驢跨]~가도멸괵[假道滅虢]~가도벽립[家徒壁立] 981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