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34  

가슬석자[歌瑟析子] () 나라 때 육가(陸賈)가 일찍이 남월(南越)에 사신 가서 얻은 천금(千金)을 나누어 다섯 아들에게 각각 이백 금(二百金)씩을 주어 분가시키고, 자신은 안거사마(安車駟馬)에 가무고슬(歌舞鼓瑟)하는 시종(侍從) 10인과 보검(寶劍) 한 자루만 소지하면서 자식들에게 이르기를 내가 너희들 집에 찾아갔을 적에는 대접을 극진히 해야 한다. 그리고 내가 죽는 집에서는 내가 가지고 있는 수레와 보검과 가무고슬하는 시종들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라고 한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卷十七>

가슬추연[加膝墜淵] 법도를 넘는 지나친 애증(愛憎)을 이른다. 고우면 무릎에 앉히고 미우면 못에 떨어뜨린다는 말로,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지나치게 변덕스러움을 뜻한다.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서 자사(子思)가 말하기를 오늘날의 군주는 사람을 기용하기를 마치 무릎에라도 앉힐 듯이 하고, 사람을 물리치기를 마치 못에 떨어뜨릴 듯이 한다.[今之君子 進人若將加諸膝 退人若將墜諸淵]”고 하였다.

가슬추연[加膝墜淵] 사랑하여 나오게 하고자 할 때에는 장차 무릎 위에 올려놓을 듯이 총애하다가도 미워하여 물리치고자 할 때에는 장차 연못에 빠뜨릴 듯이 미워하여, 사랑하고 미워하기를 마음대로 하는 것을 뜻한다.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서 자사(子思)가 이르기를 오늘날의 위정자들은 사람을 나오게 할 때에는 장차 무릎에 올려놓을 듯이 하다가 사람을 내칠 적에는 장차 연못에 빠뜨릴 듯이 한다.[今之君子 進人若將加諸膝 退人若將隊諸淵]”고 하였다.

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가가(家家)마다 익히고 호호(戶戶)마다 보았다는 말이다. ()는 자세히 봄이다.

 

 



번호 제     목 조회
77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351
76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347
75 화류[花柳]~화륜[火輪]~화문[花門]~화미구미[畫眉求媚]~화발치진[華髮緇塵] 1344
74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339
73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335
72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335
71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334
70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332
69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331
68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1330
67 가도어인[假道於仁]~가도우거[假道于莒]~가도정의[家道正矣]~가도한위[假道韓魏] 1327
66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32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