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모수유중조[毛遂猶重趙] ~ 모순지설[矛盾之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270  
♞모수유중조[毛遂猶重趙] 모수는 전국 시대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문객(門客)인데, 그는 평소에 아무런 두각을 나타낸 적이 없다가, 마침 진(秦) 나라가 조 나라를 공략할 때를 당하여 평원군이 문객 20명을 데리고 초왕(楚王)에게 구원병을 요청하러 갈 적에, 모수는 자청하여 그 중 가장 말석에 끼어 초 나라에 갔던바, 초왕과 평원군과의 회동 결과가 지지부진함을 보고는 그가 직접 초왕을 면대하여 당장에 일을 해결해 냈던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平原君傳>
♞모수자천[毛遂自薦] 자기가 자신을 추천함을 말한다. 전국 시대 진(秦)나라가 조(趙)나라를 치자 조나라는 초나라와 반진(反秦) 연합군을 결성하고자 했다. 좋은 수가 없던 상황에서 모수(毛遂)가 스스로를 천거하여 평원군(平原君)을 따라 초(楚)나라에 가 망설이는 초왕을 칼자루로 위협하고 논리적으로 구슬리어 합종(合從)의 협약을 맺게 한 고사가 있다.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말이 유래된 고사이기도 하다. <史記 卷七十六 平原君列傳>
♞모수천[毛遂薦] 자기가 자기를 천거함을 말한다. 전국 시대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이 초(楚) 나라에 원병을 청할 때 문하에서 문무(文武)를 갖춘 자 20인을 구했는데, 이때 모수(毛遂)가 자기 자신을 천거하였다. <史記 平原君傳>
♞모순[矛盾] 창과 방패. 이는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을 뜻한다. 초나라 사람 중에 방패와 창을 파는 사람이 있어 그것을 자랑하여 말하기를 ‘내 방패의 견고함은 뚫을 수 없다.’하고, 또 그 창을 자랑하여 말하길, ‘내 창의 날카로움은 뚫지 못할 것이 없다.’라 하자,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당신 창으로 당신의 방패를 뚫으면 어떻게 되오?’하니 그 사람이 대답하지 못하였다 한다.
♞모순당착[矛盾撞着] 앞뒤의 이치가 서로 맞지 않음을 말한다. 자가당착(自家撞着)
♞모순지설[矛盾之說] 말의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을 말한다. <韓非子>
 
 



번호 제     목 조회
557 목경지환[木梗之患] 3152
556 목객[木客] ~ 목격도유존[目擊道猶存] 3494
555 목가[木稼] ~ 목강[木强] 3712
554 모한보한구[謀漢報韓仇] ~ 모호기고숙[蝥弧欺考叔] 3335
553 모참승전비[貌慙勝戰肥] ~ 모토[茅土] 3299
552 모적[蟊賊] ~ 모중령[毛中令] 3157
551 모자[毛子] ~ 모장[毛嬙] 4320
550 모의[毛義] ~ 모인[慕藺] 3118
549 모우조운[暮雨朝雲] ~ 모유격[茅游擊] 3564
548 모아[暮雅] ~ 모용수[暮容垂] 3150
547 모시[毛詩] ~ 모심곽[茅尋郭] 3250
546 모수유중조[毛遂猶重趙] ~ 모순지설[矛盾之說] 3271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