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모아[暮雅] ~ 모용수[暮容垂]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144  
♞모아[暮雅] 석양의 갈가마귀를 말한다.
♞모암[慕庵] 김극일(金克一)의 호이다.
♞모야[某也] 송(宋) 나라 사마광(司馬光)의 간원제명기(諫院題名記)에 “후인들이 장차 그 이름들을 가리키며 말하기를 ‘아무는 충성스러웠고, 아무는 간사했으며, 아무는 정직했고, 아무는 부정했다.[某也忠 某也詐 某也直 某也曲]’고 하리니, 아, 두렵지 않겠는가.”한 데서 온 말이다.
♞모영[毛穎] 붓의 이칭(異稱)이다.
♞모영부중서[毛穎不中書] 붓도 닳으면 글씨를 쓸 수 없음을 이른다. 한유(韓愈)의 모영전(毛穎傳)에서 닳아진 붓을 일러 “나는 일찍이 그대가 글씨를 쓰기에 적합하다고[中書]여겼더니, 그대가 이제는 글씨를 쓰기에 적합하지 못한가?”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모용[茅容] 모용은 동한(東漢) 진류(陳留) 사람으로 자는 계위(季偉)이다. 당시의 명사 곽태(郭泰)가 그의 집에서 하룻밤을 잤는데 이튿날 새벽 닭을 잡는 것을 보고 자기를 대접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하였으나 닭은 그의 어머니에게 드리고 나물밥을 함께 나눠 먹었다. 곽태는 그를 훌륭하게 여겨 글을 배우도록 권해 마침내 덕이 높은 선비가 되었다 한다.
♞모용수[暮容垂] 모용수(暮容垂)는 중국을 점령하여 남북조 시대가 되었다.
 
 



번호 제     목 조회
557 목경지환[木梗之患] 3148
556 목객[木客] ~ 목격도유존[目擊道猶存] 3490
555 목가[木稼] ~ 목강[木强] 3710
554 모한보한구[謀漢報韓仇] ~ 모호기고숙[蝥弧欺考叔] 3333
553 모참승전비[貌慙勝戰肥] ~ 모토[茅土] 3294
552 모적[蟊賊] ~ 모중령[毛中令] 3152
551 모자[毛子] ~ 모장[毛嬙] 4317
550 모의[毛義] ~ 모인[慕藺] 3116
549 모우조운[暮雨朝雲] ~ 모유격[茅游擊] 3558
548 모아[暮雅] ~ 모용수[暮容垂] 3145
547 모시[毛詩] ~ 모심곽[茅尋郭] 3247
546 모수유중조[毛遂猶重趙] ~ 모순지설[矛盾之說] 3265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