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학가[鶴駕] ~ 학경불가단[鶴脛不可斷]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09  
♞학가[鶴駕] 왕세자(王世子)를 말한다. 열선전(列仙傳) 왕자교(王子喬)에, “왕자교는 바로 주(周)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진(晉)인데, 일찍이 흰 학을 타고 가 구씨산(緱氏山)에 머물렀다.” 하였다. 이를 인해서 후대에는 태자의 거가(車駕)를 학가라고 하게 되었다.
♞학강구[鶴降緱] 주 영왕(周靈王)의 태자(太子) 진(晉)이 왕을 간하다가 쫓겨났는데, 그는 젓대를 잘 불었고, 도사(道士) 부구생(浮丘生)과 숭고산(嵩高山)에서 30년을 같이 있었다. 그 후에 환량(桓良)이란 사람을 보고 “그대가 내 집에 가서, 7월 7일에 구씨산(緱氏山) 위에서 나를 기다리라고 전해 달라.” 하였다. 그날 집안 식구가 그곳에 이르니, 진이 백학(白鶴)을 타고 나타났다 한다. <逸周書 太子晉解>
♞학개[鶴蓋] 학개는 수레 뚜껑이 학 날개와 같다는 뜻이다. 유정(劉楨)의 노도부(魯都賦)에 “수레 뚜껑은 학과 같고 말은 뛰어노는 물고기 같다.” 하였다.
♞학경[鶴經] 은자(隱者)들이 즐겨 읽는 상학경(相鶴經)의 준말이다. 송(宋) 나라 임포(林逋)의 ‘유제이힐임정(留題李頡林亭)’이라는 시에 “거문고도 없이 학경을 베고, 온종일 숲 정자에 누워 있노라.[無琴枕鶴經 盡日臥林亭]”라는 구절이 있다.
♞학경불가단[鶴脛不可斷] 사물에는 각각 적절한 면이 있으므로 함부로 손익(損益)해서는 안 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69 춘추[春秋] ~ 춘추필법[春秋筆法] 4794
568 건강[乾綱] ~ 건계[建溪] 4794
567 정호용[鼎湖龍] ~ 정호화금슬[靜好和琴瑟] 4795
566 척령[鶺鴒] ~ 척령최령[鶺鴒摧翎] 4797
565 정포은[鄭圃隱] ~ 정현침[鄭玄針] 4798
564 축록[逐鹿] ~ 축리접위구[逐利接爲構] 4799
563 평향정[萍鄕政] ~ 폐구계자[弊裘季子] 4799
562 허실광생백[虛室光生白] ~ 허심탄회[虛心坦懷] 4799
561 경호[鏡湖] ~ 경화원[瓊花院] 4801
560 불사[不死] ~ 불상위모[不相爲謀] 4802
559 공거[公車] ~ 공경대부[公卿大夫] 4805
558 축융[祝融] ~ 축일상제[逐日霜蹄] 4807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