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후장[堠墻] ~ 후종[候鍾]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376  
♞후장[堠墻] 적정(敵情)을 살피기 위하여 흙으로 쌓은 보루(堡壘)를 말한다.
♞후정옥수[後庭玉樹] 노래 이름을 뜰[後庭]과 나무[玉樹]에 비유한 것이다. 진 후주(陳後主)가 매양 빈객을 불러 장귀비(張貴妃) 등을 데리고 잔치하고 여러 귀인(貴人)에게 시를 짓도록 하여 그 중에서 잘된 것을 뽑아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곡조를 만들었는데, 뒤에 옥수․후정 2곡으로 나뉘었다.
♞후정화[後庭花] 진 후주(陳後主) 때의 가곡명(歌曲名)으로, 후주가 연회를 베풀 적에 귀인(貴人)․여학사(女學士)․압객(狎客) 등으로 하여금 시를 짓게 하여, 그 중 가장 잘 된 것을 뽑아 악곡(樂曲)을 붙이고 아름다운 여인을 선발, 이를 노래 부르고 춤추게 하면서 즐겼는데 그 중 한 곡이 바로 이 후정화이다.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陳書 皇后傳>
♞후제[后帝] 두예(杜預)의 주에 “后帝 堯也”라 하였다.
♞후조[後凋] 소나무와 잣나무를 말한다. 논어(論語) 자한(子罕)의 “날씨가 추워진 다음에야 송백이 끝까지 시들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歲寒然後知松柏之後彫也]”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후종[候鍾]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
 
 



번호 제     목 조회
4877 직[稷] ~ 직궁증부[直躬證父] 4895
4876 장후[張侯] ~ 장후삼경[蔣詡三逕] 4893
4875 최성지[崔聖止] ~ 최장[催粧] 4892
4874 강락[康樂] ~ 강랑한부[江郞恨賦] 4892
4873 설망어검[舌芒於劍] ~ 설부[雪賦] ~ 설부[說郛] 4892
4872 최노[崔盧] ~ 최북[崔北] 4891
4871 위여조로[危如朝露] ~ 위염[魏冉] 4889
4870 최졸옹[崔拙翁] ~ 최해주[崔海州] 4888
4869 이유염매[爾惟鹽梅] ~ 이육[二陸] ~ 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 4886
4868 충막[沖漠] ~ 충민촉[忠愍燭] 4885
4867 장락[長樂] ~ 장려화[張麗華] 4883
4866 자유홀[子猷笏] ~ 자은제탑[慈恩題塔] ~ 자의소대[紫衣小隊] 4883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