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사마자미[司馬子微] ~ 사마희[司馬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60  
♞사마자미[司馬子微] 자미(子微)는 사마승정(司馬承禎)의 자(字)이다. 사마승정은 당(唐) 나라 사람으로 호는 백운(白雲)․백운자(白雲子)․중암도사(中巖道士)이고, 시호는 정일선생(貞一先生)이다. 반사정(潘師正)을 따라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받아 개원(開元) 중에 소명(召命)을 입고, 조명(詔命)에 의해 왕옥산(王屋山)에 단실(壇室)을 쌓았다. 세 가지 서체(書體)로 노자(老子)를 베껴 구문(句文)을 간정(刊正)하였다.
♞사마주[司馬柱] 진취적으로 뜻을 세워 기필코 공명(功名)을 이루어 보겠다는 마음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한(漢)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처음 장안(長安)에 갈 때 촉도(蜀都)인 성도(成都)의 승선교(升仙橋)를 지나면서 그 기둥에 “대관(大官)이 되어 으리으리한 수레를 타지 않고서는 이 다리를 다시 건너지 않겠다.”고 썼던 고사가 있다. <史記 司馬相如列傳>
♞사마지려[司馬知呂] 사마는 사마광(司馬光), 여는 여공저(呂公著)를 이른다. 사마광이 위독했을 때 여공저에게 편지를 보내 이르기를 “내가 내 몸은 의원에게 맡기면 되고, 집안 일은 자식에게 맡기면 되지만 나라 일은 맡길 곳이 없어 걱정하다가 지금 공(公)이 맡도록 부탁하오.” 하였다. <宋史 卷三百三十六>
♞사마참석[司馬鑱石] 아무리 묘를 화려하게 꾸며도 후세 사람이 파헤치니 모두 소용 없는 일이라는 뜻이다. 예기(禮記) 단궁상(檀弓上)에 “자유(子游)가 ‘부자(夫子)가 송(宋) 나라에 있을 적에 사마(司馬) 환퇴(桓魋)가 석곽(石槨)을 아름답게 조각하느라고 3년이 되도록 완성하지 못하자 부자가 「이렇게 사치하게 꾸밀 바에야 죽어서 일찍 썩는 것이 낫다.」했다.’ 하였다.” 했다.
♞사마천[司馬遷] 전한의 역사가이다. 지는 자장(子長). 경칭은 태사공(太史公). 젊었을 때 전국 각처를 주유(周遊)하며 전국 시대 제후(諸侯)의 기록을 수집 정리하였다. 기원전 104년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曆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아버지 사마담(史馬談)의 뒤를 이어 태사령(太史令)이 되었다. 흉노(匈奴) 토벌 중 포로가 되어 투항한 이릉(李陵)장군을 변호하다가 무제(武帝)의 노여움을 사 궁형(宮刑)을 받았다. 기원전 97년 불후의 명저사기(史記)130권을 완성하였다.
♞사마희[司馬喜] 전국 때 중산국의 재상으로 사마희(司馬熹)라고도 한다. 원래 송나라 사람이었으나 슬개골이 짤리는 빈형(臏刑)을 받아 도망쳐 중산으로 들어가 재상이 되었다.
 
 



번호 제     목 조회
449 별재위체[別裁僞體] ~ 별천지[別天地] 4922
448 강영과[江盈科] ~ 강유겸전[剛柔兼全] 4922
447 고어[皐魚] ~ 고어지사[枯魚之肆] 4923
446 오불관언[吾不關焉]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비토주[烏飛兎走] 4923
445 자사[紫絲] ~ 자산수[子山愁] ~ 자산출천[刺山出泉] 4923
444 조서[照犀] ~ 조석오[朝夕烏] 4925
443 별파[撇波] ~ 별학조[別鶴操] 4926
442 일벌백계[一罰百戒] ~ 일병위전석[一病違銓席] ~ 일부이미[一稃二米] 4926
441 정장[靚粧] ~ 정저지와[井底之蛙] 4927
440 추오[楸梧] ~ 추월자[秋月子] 4928
439 구야자[歐冶子] ~ 구약현하[口若懸河] 4931
438 도온[道韞] ~ 도온고풍[道蘊高風] ~ 도외시[度外視] 4932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