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사마자미[司馬子微] ~ 사마희[司馬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57  
♞사마자미[司馬子微] 자미(子微)는 사마승정(司馬承禎)의 자(字)이다. 사마승정은 당(唐) 나라 사람으로 호는 백운(白雲)․백운자(白雲子)․중암도사(中巖道士)이고, 시호는 정일선생(貞一先生)이다. 반사정(潘師正)을 따라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받아 개원(開元) 중에 소명(召命)을 입고, 조명(詔命)에 의해 왕옥산(王屋山)에 단실(壇室)을 쌓았다. 세 가지 서체(書體)로 노자(老子)를 베껴 구문(句文)을 간정(刊正)하였다.
♞사마주[司馬柱] 진취적으로 뜻을 세워 기필코 공명(功名)을 이루어 보겠다는 마음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한(漢)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처음 장안(長安)에 갈 때 촉도(蜀都)인 성도(成都)의 승선교(升仙橋)를 지나면서 그 기둥에 “대관(大官)이 되어 으리으리한 수레를 타지 않고서는 이 다리를 다시 건너지 않겠다.”고 썼던 고사가 있다. <史記 司馬相如列傳>
♞사마지려[司馬知呂] 사마는 사마광(司馬光), 여는 여공저(呂公著)를 이른다. 사마광이 위독했을 때 여공저에게 편지를 보내 이르기를 “내가 내 몸은 의원에게 맡기면 되고, 집안 일은 자식에게 맡기면 되지만 나라 일은 맡길 곳이 없어 걱정하다가 지금 공(公)이 맡도록 부탁하오.” 하였다. <宋史 卷三百三十六>
♞사마참석[司馬鑱石] 아무리 묘를 화려하게 꾸며도 후세 사람이 파헤치니 모두 소용 없는 일이라는 뜻이다. 예기(禮記) 단궁상(檀弓上)에 “자유(子游)가 ‘부자(夫子)가 송(宋) 나라에 있을 적에 사마(司馬) 환퇴(桓魋)가 석곽(石槨)을 아름답게 조각하느라고 3년이 되도록 완성하지 못하자 부자가 「이렇게 사치하게 꾸밀 바에야 죽어서 일찍 썩는 것이 낫다.」했다.’ 하였다.” 했다.
♞사마천[司馬遷] 전한의 역사가이다. 지는 자장(子長). 경칭은 태사공(太史公). 젊었을 때 전국 각처를 주유(周遊)하며 전국 시대 제후(諸侯)의 기록을 수집 정리하였다. 기원전 104년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曆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아버지 사마담(史馬談)의 뒤를 이어 태사령(太史令)이 되었다. 흉노(匈奴) 토벌 중 포로가 되어 투항한 이릉(李陵)장군을 변호하다가 무제(武帝)의 노여움을 사 궁형(宮刑)을 받았다. 기원전 97년 불후의 명저사기(史記)130권을 완성하였다.
♞사마희[司馬喜] 전국 때 중산국의 재상으로 사마희(司馬熹)라고도 한다. 원래 송나라 사람이었으나 슬개골이 짤리는 빈형(臏刑)을 받아 도망쳐 중산으로 들어가 재상이 되었다.
 
 



번호 제     목 조회
4865 건천지해중간독[蹇淺只解重竿牘] ~ 건후이건[乾餱以愆] 4888
4864 장락[長樂] ~ 장려화[張麗華] 4887
4863 석천[石川] ~ 석탄[石灘] 4885
4862 엄조[嚴助] 4885
4861 태자하[太子河] ~ 태중대부[太中大夫] 4884
4860 비필충천[飛必沖天] ~ 비현령 이현령[鼻懸令 耳懸令] 4882
4859 종자가남음[鍾子歌南音] ~ 종재번[種梓樊] 4882
4858 삼배통대도[三杯通大道] ~ 삼백편[三百篇] 4881
4857 마행처우역거[馬行處牛亦去] ~ 마혁귀[馬革歸] ~ 마혁리시[馬革裹屍] 4880
4856 평원독우[平原督郵] ~ 평원주문맹[平原主文盟] 4877
4855 은낭[隱囊] ~ 은대[銀臺] 4876
4854 팔용[八龍] ~ 팔월선사[八月仙槎] 4876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