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72  
♞사문[斯文] 공자의 말에서 나온 문구인데, 문왕(文王)이 죽은 뒤에 자신이 이어받은 이 도(道)라는 뜻이다. 후세의 선비들은 유학(儒學)을 사문(斯文)이라 한다.
♞사문[斯文] 사문은 이 글․이 학문․이 도(道)란 의미로, 유교(儒敎)의 학문․도의․문화 또는 유학자 즉, 선비를 말함. 논어(論語) 자한(子罕)에 “하늘이 사문(斯文)을 없애려 한다면 내가 사문에 참여하지 못하였을 것이거니와……” 하였다.
♞사문난적[斯文亂賊] 이 학문(유교)을 어지럽히는 적이란 말로 즉, 유교의 교리나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일종의 이단자를 가리킨다. 중세 유학이념이 지배하던 사회 속에서 다른 이념을 불인정한 상태를 반영한 용어이다.
♞사문미상[斯文未喪] 공자가 광(匡) 땅 사람들에게 포위되어 곤욕을 당하면서, “하늘이 장차 사문(斯文)을 상실하게 하려 하지 않는다면 광인(匡人)이 나를 어찌하랴.” 하였다. 사문은 곧 이 도(道)라는 뜻이다.
♞사문부산[使蚊負山] 모기(蚊)로 하여금 산을 지게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부족해서 중책(重責)을 감당할 수 없는 것을 일컫는다. 蚊蚋負山. <莊子>
♞사문유취[事文類聚] 전(前)․후(後)․속(續)․별(別)․신(新)․외(外)․유(遺)집 총 2백 36권으로서 전 후․속․별집은 송 나라 축목(祝穆)의 찬이고, 신․외집은 원(元) 나라 부대용(富大用), 유집은 축연(祝淵)의 찬임. 축목이 편찬한 것은 부류(部類)를 나누어 군서(群書)의 요어(要語)․시구(詩句)․고금(古今)의 사실․고금 문집의 순으로 배열했다. 그는 사문유취(事文類聚) 서(序)에서, “因考歐陽詢徐堅所著類書 採摭事實及詩文 合而成編…”이라 하여, 당 나라 구양순의 예문유취(藝文類聚)와 서견의 초학기(初學記)의 체재를 따랐음을 밝히고 있다. 부대용과 축연의 것은 축목의 체재를 그대로 따르고 그것에 증보한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29 중표[中表] ~ 중향성[衆香城] ~ 중화[中和] 6273
28 죽영사성남[竹影似城南] ~ 죽장망혜[竹杖芒鞋] ~ 죽장화룡[竹杖化龍] 6285
27 중니감려인[仲尼甘旅人] ~ 중니곤계맹[仲尼困季孟] ~ 중니칭기과[仲尼稱其果] 6299
26 녹음방초 승화시[綠陰芳草 勝花時] ~ 녹의[綠蟻] ~ 녹의홍상[綠衣紅裳] 6333
25 진착[珍錯] ~ 진첩[晉帖] ~ 진초경[晉楚卿] 6378
24 지난이퇴[知難而退] ~ 지당대신[至當大臣] ~ 지당춘초구[池塘春草句] 6421
23 진퇴격[進退格] ~ 진퇴유곡[進退維谷] ~ 진편석혈[秦鞭石血] 6426
22 거천하지광거[居天下之廣居] ~ 거황[居肓] 6514
21 가기[佳氣] ~ 가기의방[可欺宜方] ~ 가농성진[假弄成眞] 6550
20 지기괴[支祈怪] ~ 지기석[支機石] ~ 지긴지요[至緊至要] 6613
19 중달[仲達] ~ 중당[中唐] ~ 중동[重瞳] ~ 중랑녀[中郞女] 6626
18 중후관[中侯官] ~ 즉묵성외소미우[卽墨城外燒尾牛] ~ 즐풍목우[櫛風沐雨] 6646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