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사석위호[射石爲虎] ~ 사선정[四仙亭]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33  
♞사석위호[射石爲虎] 돌을 범으로 잘못 보고 화살을 쏘았다는 말로, 일념을 가지고 하면 어떤 일이든 간에 성취할 수 있다는 뜻의 고사성어.
♞사석음우[射石飮羽] 돌을 쏘았는데 깃털까지 박혔다는 뜻으로,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는데 깃까지 들어가 박혔다는 초(楚)의 양유기(養由基)와 한(漢)의 이광(李廣)의 고사에서 열성(熱誠)을 다하면 어떤 일이든지 성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사선[四善] 관리(官吏)의 네 가지 선행(善行). 즉 덕의가 널리 알려지는 것[德義有聞], 청신함이 밝게 드러나는 것[淸愼明著], 공평함을 칭송할 만한 것[公平可稱], 각근하여 게으르지 않는 것[恪勤匪懈]등이다. <舊唐書 職官志>
♞사선[四仙] 신라 시대의 사선(四仙)으로 일컬어지는 영랑(永郞), 술랑(述郞), 남랑(南郞), 안상(安詳)을 말한다. 이들이 사흘 동안 이곳에서 노닐었다고 하여 삼일포라는 이름이 생겼다.
♞사선봉[四仙峯] 총석정은 통천(通川)에 있다. 전설에 신라의 술랑(述郞)․남랑(南郞)․영랑(永郞)․안상(安詳)이 여기에서 유상(游賞)하였다 하여 사선봉(四仙峯)이라 한다.
♞사선성[謝宣城] 남제(南齊) 사조(謝眺), 자 현휘(玄暉). 선성(宣城) 태수(太守)를 지냈으므로, 사선성이라 일컬었다. 글이 맑고도 화려하며 시(詩)에 능했다.
♞사선양거[謝仙煬炬] 사선(謝仙)은 뇌신(雷神)을 말한다.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 왕진궁(王眞宮)에 화재가 발생하여 기둥 하나만 남기고 전소되었는데 그 기둥에 ‘사선이 불을 질렀다.[謝仙火]’는 글자가 있었다고 한다.
♞사선정[四仙亭] 사선정은, 신라 시대에 국선(國仙)으로 불렸던 영랑(永郞)․술랑(述郞)․안상(安祥)․남석행(南石行) 네 사람이 고성(高城)의 삼일포(三日浦)에 와서 3일을 놀았다 하여 후인이 그것을 기념하는 뜻으로 삼일포의 작은 섬에 정자를 세우고 사선정이라 이름한 것이고, 또 삼일포의 북쪽 벼랑에 단서(丹書)로 쓴 ‘영랑도 남석행(永郞徒南石行)’이란 여섯 자가 있었다는 고사가 있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四十五卷 高城>
 
 



번호 제     목 조회
4817 자장포궤[子張鋪几] ~ 자전무고[紫電武庫] ~ 자조[煮棗] 4832
4816 춘년[椿年] ~ 춘대[春臺] 4830
4815 고야[姑射] ~ 고야작[姑射綽] 4827
4814 풍융[豐隆] ~ 풍자[風子] 4827
4813 풍초[豐貂] ~ 풍풍[渢渢] 4827
4812 숙복[宿福] ~ 숙불환생[熟不還生] 4824
4811 풍화[風花] ~ 풍후[風后] 4824
4810 회창[會昌] ~ 회추[會推] 4824
4809 감령[減齡] ~ 감로장[甘露漿] 4824
4808 이남관기편[二南冠基篇] ~ 이노백고지[狸奴白牯知] ~ 이능송백벽연면[二陵松柏碧連綿] 4824
4807 은[隱] ~ 은괄[檃栝] 4823
4806 갱재[賡載] ~ 거거[椐椐] 482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