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삼배통대도[三杯通大道] ~ 삼백편[三百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84  
♞삼배통대도[三杯通大道] 이태백(李太白)의 시 월하독작(月下獨酌)에 “청주 탁주 성현의 술 이미 다 마셨으니, 신선을 구태여 찾을 필요 뭐 있으랴. 석 잔의 술에 대도를 통하고, 한 말술에 자연과 합치됐느니.[賢聖旣已飮 何必求神仙 三杯通大道 一斗合自然]”라는 표현이 있다.
♞삼배통도[三杯通道] 이백(李白)의 월하독작시(月下獨酌詩)에 “하필 신선을 구할 게 뭐랴, 석 잔 술에 대도를 통하고, 한 말 술에 자연과 합한다.[何必求神仙 三杯通大道 三杯通大道 一斗合自然]”라는 구절이 있다.
♞삼백[三白] 납전삼백(臘前三白)에서 나온 말로 풍년의 징조라 한다. 본초(本草) 납설(臘雪)에 “동지(冬至) 지난 뒤 세 번째 술일(戌日)이 납(臘)인데 납 이전에 세 차례 눈이 오면 보리 농사에 아주 좋다.” 하였다.
♞삼백기송시[三百其誦詩] 공자의 말에 “시경(詩經) 3백 편을 읽고, 외국에 사신으로 가서 전대(專對)하지 못하면 많이 읽은 것이 무슨 소용이랴.” 하였다. 시경(詩經)은 모두 3백 편이며, 옛날 중국에서는 시경(詩經)이 외교에 매우 많이 응용되었다.
♞삼백전[三百廛] 삼백은 다수(多數)를 뜻하고 전은 단위 백 묘(百畝)에 해당하는 것으로, 시경(詩經) 위풍(魏風) 벌단(伐檀)에 “씨뿌리고 거두지 않으면 삼백전의 곡식을 어떻게 취하랴[不稼不穡 胡取禾三百廛兮]” 한 데서 온 말이다.
♞삼백편[三百篇] 시경(詩經). 시경(詩經)에 수록된 시를 가리킨다.
 
 



번호 제     목 조회
341 십력[十力] ~ 십묘지[十畝地] 5098
340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 일일장호[一日長乎] ~ 일자천금[一字千金] 5102
339 백구맹[白鷗盟] ~ 백구시[白駒詩] 5104
338 장타유[張打油] ~ 장탕[張湯] ~ 장탕우거반[張湯牛車返] 5105
337 정지상[鄭知常] ~ 정참잠경개[停驂暫傾蓋] 5106
336 범택부가[泛宅浮家] ~ 범포한[范袍寒] 5107
335 쌍조[雙鳥] ~ 쌍주[雙珠] 5109
334 강항[强項] ~ 강항령[强項令] 5112
333 장맥분흥[張脈憤興] ~ 장몽[掌夢] 5112
332 장실[丈室] ~ 장실봉산[藏室蓬山] ~ 장심문[將心問] 5112
331 강한[江漢] ~ 강한조종[江漢朝宗] 5115
330 요동학[遼東鶴] ~ 요락[搖落] ~ 요락일[搖落日] 5116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