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목난[木難] ~ 목덕[木德]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54  
♞목난[木難] 보석(寶石)의 이름으로 목난주(木難珠)의 준말이다.
♞목노[木奴] 목노(木奴)는 감귤(柑橘)의 별칭이다. 양양(襄陽) 이형(李衡)이 가족 몰래 무릉(武陵) 용양주(龍陽洲)에 감자(柑子) 천(千)나무를 심어 두었다가 죽을 때에 아들에게 말하기를, “용양주에 천두(千頭) 목노(木奴)가 있으니 해마다 비단 수천 필을 얻을 것이다.”하였다 한다. 그 나무에서 생산하는 것이 종에게서 받는 것과 같다는 의미이다.
♞목당강한[目唐綱漢] 옛 사람이 한(漢) 나라와 당(唐) 나라의 정치를 비교하고 논평하여, “한은 대강(大綱)이 발랐고, 당은 만목(萬目)이 베풀어졌다.”하였다. 이것은 그물에 비유하여 말한 것이다.
♞목덕[木德] 목은 동방(東方)에 해당하므로 즉 봄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261 진소유[秦少游] ~ 진수성찬[珍羞盛饌] ~ 진승[陳勝] 5402
5260 주접접위주[周蝶蝶爲周] ~ 주정[周鼎] ~ 주정상물[鑄鼎象物] 5397
5259 원헌[原憲] ~ 원헌씨[原憲氏] ~ 원헌치[原憲恥] 5393
5258 증행언[贈行言] ~ 지각[芝閣] ~ 지강급미[舐糠及米] 5381
5257 희원야기잠[希元夜氣箴] ~ 희이[希夷] 5370
5256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5369
5255 번오기[樊於期] ~ 번옹해사[樊翁解事] 5365
5254 임방[林放] ~ 임방애객[任昉愛客] ~ 임비[任鄙] 5356
5253 벽통[碧筒] ~ 벽파정[碧波亭] 5352
5252 서호[西湖] ~ 서호팔경도[西湖八景圖] 5352
5251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5349
5250 가부[家父] ~ 가부결정[可否決定] 5347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