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삼색도화[三色桃花] ~ 삼생석[三生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20  
♞삼색도화[三色桃花] 인조 때 이조 판서(吏曺判書)인 남이웅(南以雄)이 관리(官吏)를 전주(銓注)할 때 반드시 서인(西人)·남인(南人)·북인(北人)의 삼색인(三色人)을 삼망(三望)에 올렸으므로 당시에 그것을 가라켜 ‘삼색도화’라고 하였다.
♞삼색리[三色李] 진(晉) 나라 때 부현(傅玄)의 이부(李賦)에 “……방릉(房陵)의 표청리(縹靑李 옥색 오얏)는 한 나무에 세 가지 색깔의 오얏이 열리고 맛과 이름이 각기 다르다.” 하였다.
♞삼생[三生] 불가(佛家)의 용어로, 사람이 태어나는 과거, 현재, 미래로, 즉 전생(前生), 현생(現生), 후생(後生)을 가리킨다. 당(唐) 나라 간의대부(諫議大夫) 이원(李源)이 낙양 혜림사(惠林寺)의 승려 원관(圓觀)과 깊은 우정을 나누다가 원관이 죽은 뒤 그가 다시 환생한 목동을 만나 서로들 알아보았다는 삼생석(三生石)의 전설이 전한다. <甘澤謠 圓觀>
♞삼생[三牲] 삼생은 소·양·돼지이다.
♞삼생석[三生石] 전생의 숙연(宿緣)을 말한다. 삼생은 불가(佛家)의 용어로, 전생(前生), 현생(現生), 후생(後生)을 가리킨다. 당 나라 때 이원(李源)과 중 원관(圓觀)이 서로 친하게 지내었는데, 함께 삼협(三峽)을 유람하다가 물을 긷는 어떤 부인을 보고 원관이 말하기를 “임산부 가운데 왕씨(王氏) 성을 가진 사람이 바로 내가 몸을 의탁할 곳이다.” 하고는 12년 뒤 중추(中秋) 달밤에 항주(杭州)의 천축사(天竺寺)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다. 그리고 그날 밤에 원관이 죽고 임산부가 출산을 하였다. 그 뒤에 만나기로 약속한 날짜가 되어 이원이 약속 장소에 가서 어떤 목동(牧童)이 노래하는 소리를 듣고는 그 목동이 바로 원관의 후신인 줄을 알았다. 후대에는 이를 인해서 천축사 뒷산에 있는 돌을 삼생의 돌이라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49 예상[霓裳] ~ 예상우의[霓裳羽衣]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4916
448 이곽선[李郭仙] ~ 이관규천[以管窺天] ~ 이관조몽시[移官早夢尸] 4916
447 강영과[江盈科] ~ 강유겸전[剛柔兼全] 4917
446 고어[皐魚] ~ 고어지사[枯魚之肆] 4917
445 오불관언[吾不關焉]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비토주[烏飛兎走] 4917
444 자사[紫絲] ~ 자산수[子山愁] ~ 자산출천[刺山出泉] 4917
443 추오[楸梧] ~ 추월자[秋月子] 4921
442 조서[照犀] ~ 조석오[朝夕烏] 4921
441 정장[靚粧] ~ 정저지와[井底之蛙] 4924
440 구야자[歐冶子] ~ 구약현하[口若懸河] 4924
439 일벌백계[一罰百戒] ~ 일병위전석[一病違銓席] ~ 일부이미[一稃二米] 4924
438 도온[道韞] ~ 도온고풍[道蘊高風] ~ 도외시[度外視] 4927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